섹션

올해 전세자금대출 30조원 육박…연체율도 급증

올해 들어, 전세자금대출이 크게 증가함과 함께 전세대출의 채무불이행과 같은 부실위험도 커지고 있다.

6일 국토교통부와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28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민·기업·농협·신한·외환·우리·하나 등 7개 주요 시중은행과 정부의 국민주택기금에서 빌린 대출금만 30조원에 육박했고, 연체율도 급등했다.

전세보증금을 마련하려고 내는 빚이 올해 들어 한층 가파르게 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의 8배에 이른다.

지난해 말보다 대출 잔액은 1조5천억원 넘게 늘었다. 3개월 만에 5.7% 증가한 것이다.

분기별 전세대출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 4.8%에서 2분기 3.6%, 3분기 3.4%로 점차 안정되는 듯했으나 올해 들어 증가 폭이 커졌다.

지난해 하반기 정부가 전·월세 안정 대책을 내놓고 나서 전세대출 증가 폭은 확대됐다.

전세대출의 증가세와 더불어 부실도 늘고 있다. 세입자가 무거운 원리금 부담을 견디다 못해 연체하는 사례가 속출하기 때문이다.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은행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세대출 연체율이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을 앞질렀다.

전세대출의 가파른 증가세는 집주인·세입자의 채무불이행 위험과 가계부채의 질적 악화를 부추기는 요소다.

경매정보회사 지지옥션은 아파트 경매 중 청구액이 낙찰가보다 높아 전세보증금을 다 주지 못할 수 있는 물건이 지난해 매월 207건(약 21%)씩 나왔다고 밝혔다.

세입자에 대한 집주인의 보증금 채무불이행은 세입자의 전세대출 채무불이행으로 이어진다.

전세대출은 주택담보대출보다 금리도 높다. 가구당 2천600만원인 주택기금 전세대출은 연 3%대지만, 가구당 5천400만원인 은행·보증부 전세대출은 금리가 5~6%다.

은행으로선 전세대출이 고금리의 수익원이지만, 세입자 입장에선 원리금 상환 부담이 더 무거운 대출이다.

전문가들은 전세금 급등세와 전세대출의 급증세가 갑자기 꺾이는 순간 '역(逆) 전세난'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집주인에게 전세보증금은 무이자 차입금"이라며 "언젠가 이를 제대로 돌려주지 못하는 역 전세난이 닥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