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올해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육박…원화강세 등 효과

한국의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3만달러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기준으로 일본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가 3만9천달러이니 상당히 고무적인 것이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해 2만6천205달러였던 1인당 GNI가 올해는 2만9천250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LG경제연구원은 내년 3만1천705달러, 2016년 3만3천791달러, 2017년 3만6천26달러, 2018년 3만8천421달러, 2019년 4만989달러, 2020년 4만3천744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가능성이 크지는 않지만 올해 1인당 GNI가 3만달러를 넘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의 3만달러 가능성은 원화 강세, 즉 원·달러 환율 하락의 영향이 크다.

하지만, 1인당 국민소득이 상승한다고 해서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그만큼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의 3만달러가 된다고 해도, 경제 성장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은 국민소득에서 기업과 정부의 몫을 제외한 가계의 소득(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 PGDI>)이 너무 낮기 때문이다.

한국의 1인당 PGDI는 약 1만5천달러로 GNI의 절반을 조금 웃도는 수준이다.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 비해서도 크게 낮다. 한국은행이 2012년 기준으로 OECD 회원국의 GNI 대비 PGDI 비중을 분석한 결과, 자료를 입수한 21개국의 평균치는 62.6%로, 한국은 밑에서 6번째를 차지했다.

주요국 중 눈에 띄는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의 이 비중은 2008년 61.6%에서 2012년 64.2%로 상승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의 가계소득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근로소득보다는 재산소득 때문"이라며 "일본은 가계가 갖고 있는 자산분야의 포트폴리오가 한국과 달라, '와타나베 부인'으로 상징되는 투자소득이 크다"고 설명했다.

최근 일본에서는 오사카의 한 독거노인 사망 소식이 화제가 됐다. 사망 후 집 정리를 하다보니 창고에서 수백억원에 해당하는 현금이 발견된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두 나라(한국과 일본)의 1인당 국민소득은 1만달러 정도, 구매력평가기준(PPP)으로는 수천달러 차이에 불과하지만 그건 착시 현상"이라며 "아직도 봉급쟁이들의 생활 수준을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