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미국 금리 인상이 한국에 미칠 영향... 신흥국에 비하면 미미할 것

말레이시아·멕시코·브라질·페루·인도네시아·콜롬비아 주시해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2차 '긴축발작(taper tantrum)'은 터키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등 일부 신흥국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7일 국제금융시장 전문가들은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와 외채 문제를 안고 있는 신흥국들은 여전히 연준의 긴축 정책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이런 점에서 말레이시아와 페루, 콜롬비아,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도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와 외환보유액 및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 감소 덕분에 직접적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신흥국 불안에 따른 수출 감소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등이 한국에 파급될 수 있다.

실제로 전날 외환시장에서는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연내 금리인상 발언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0원 넘게 급등하는 불안 증세를 나타냈다.

긴축발작은 지난 2013년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채권매입 프로그램 규모 축소를 시사하면서 신흥국 통화가치와 증시가 급락한 현상을 일컫는다.

1차 긴축발작 이후 2년이 지났지만 전문가들은 일부 국가는 여전히 당시 만큼의 취약성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터키와 남아공, 브라질은 1차 때 연준의 점진적 긴축(tapering) 우려에 급락해 '5대 취약통화(Fragile 5)'로도 꼽혔으나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컨설팅업체 PwC는 터키와 페루, 콜롬비아, 남아공을 달러화 상승에 가장 취약한 국가로 분류했다.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달러화는 절상 수순을 밟게 된다.

이 컨설팅사는 달러채를 대규모로 발행한 14개 신흥국의 취약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채비중, 12개월 환율 움직임, GDP 대비 경상수지를 기준으로 평가했다. 앞서 언급된 국가의 취약도는 '높음(high)'으로 나타났다.

말레이시아와 브라질, 멕시코 등은 '중간(medium)' 수준의 취약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됐다.

PwC는 '5대 취약통화'가 '연약한 2개 통화(Tender 2)'로 축소됐다고 말했다. 브라질과 인도네시아는 계속 주시해야할 대상이라고 PwC는 설명했다.

일부 신흥국의 불안은 1차 때보다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KDB 대우증권의 허재환 연구원은 브라질과 남아공,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의 불안은 1차 긴축발작 때보다 더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