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연준이 "에헴"하는 소리에 금융 완화 "STOP".... 중국과 인도는 "내 갈 길 가겠다."

자국 통화 강세로 골머리를 앓았던 중앙은행들이 한숨을 돌리게 됐다.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지난 주말에 연내 기준금리 인상 의지를 밝히면서 막바지 조정 단계에 있던 달러화가 반등했기 때문이다.

통화 절하를 통한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수밖에 없었던 중앙은행들이 달러화 강세라는 '단비'를 만난 것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작년 10월 이후 12곳이 넘는 중앙은행이 통화 완화정책에 나섰다.

27일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지난 14일 93.113을 단기 저점으로 무려 4포인트 이상 상승해 97을 훌쩍 넘어섰다.

스코틀랜드왕립은행(RBS)의 그렉 깁스 전략가는 "전세계 몇몇 중앙은행들이 최근 달러화의 강세를 환영하고 있다"면서 9월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장 유력한 가운데 달러화는 "추가적인 움직임을 보일 때가 됐다"고 분석했다.

스미토모 미쓰이신탁은행의 가이자키 야스히로 부사장은 "최근까지만 해도 투자자들이 오직 유로화 약세와 달러화 강세에만 베팅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유로화 뿐만 아니라) 여타통화 대비 달러화 강세에 베팅할 수 있다는 것이 확실해졌다"고 말했다.'

◇자국통화 절상이 두려운 호주·뉴질랜드·캐나다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가 대표적으로 자국통화 강세((환율하락)로 압박을 받고 있다.

옐런 의장의 발언이 나오기 전인 21일 이후 호주달러는 미 달러화에 대해 1.9% 하락한 0.7748달러를 나타냈다. 캐나다달러도 미 달러화에 대해 1.9% 밀려 1.2430캐나다달러에 거래됐다. 뉴질랜드달러는 26일 2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호주와 뉴질랜드가 완화 궤도에 있지만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미 달러화 강세를 더 선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 완화정책이 물가 상승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주요 도시의 주택시장 과열을 부추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호주중앙은행은 3개월만인 지난 5일에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렸다.

당시 글렌 스티븐스 호주중앙은행 총재는 호주달러화의 추가 절하는 "가능성이 크고 또 필요한 일"이라고 밝혔다.

필립 로우 호주중앙은행 부총재는 27일 비즈니스콘퍼런스에 참석해 연준의 금리 인상 때 시장에 일부 불안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어느 시점엔가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미 달러화는 호주달러에 대해 강세를 보일 것이며 이는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작년 6월 기준금리를 올린 후 동결 행보를 지속하고 있지만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온다.

지난 4월 30일 기준금리 동결 후 그래미 휠러 뉴질랜드 중앙은행 총재는 "무역가중 기준으로 뉴질랜드달러는 장기 경제 펀더멘털을 감안해도 지속 불가능한 수준이며, 정당화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캐나다는 유가 하락과 제조업 약세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무엇보다 인접국인 미국의 경기 회복이 필요한 상황이다.

캐나다중앙은행은 지난 1월 4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했으나 캐나다달러의 약세를 유도하려는 인상을 주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몬트리올은행의 스티븐 갈로 헤드가 진단했다.'

◇일본·한국은 완화 '멈춤' vs 중국·인도 '마의 웨이'
일본도 추가 완화 가능성이 작아졌다는 진단이 나왔다. 다만, 달러화 강세 속에 엔저가 가속화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으로 앞선 국가들과는 그 배경에 다소 차이가 있다.

LG경제연구원의 이지평 수석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일본은행(BOJ)은 다소 물가 상승세가 둔화해도 매우 급하게 추가 금융완화에 나설 가능성은 작다"면서 추가적인 엔저 가속화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달러·엔 환율은 7년 10개월 만에 최저치인 123엔대로 올랐으며 125엔까지 오를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국도 이유는 다르지만 금리인하에 섣불리 나설 수 없게 됐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으로 자금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졌을 뿐 아니라 금리 인하로 가계 대출이 늘어날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중국은 독자적인 완화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이르면 6월에 지급준비율이나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됐다. 4월 광의통화(M2) 증가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는 소식이 완화정책의 촉매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위안화는 지난해 주요국 통화가 달러화에 대해 하락했음에도 상대적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인도는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불안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에도 내달 2일 기준금리를 25bp 낮은 7.25%로 조정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즈호은행은 "이례적으로 낮은 인플레이션 때문에 실질 금리가 여전히 매우 높게 유지되고 있다. 이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는 올해 이미 기준금리를 두 차례나 인하했다.

인도는 미국과의 엇갈리는 정책 행보에 대비해 외환보유액을 대거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