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그리스 디폴트, 국내 영향 유럽∙아시아보단 적은편....국민투표 불발 등 의외 상황엔 대비해야

그리스가 '사실상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진 1일 오전 정부는 관계기관 합동 회의를 열어 금융시장 상황과 대응책을 점검했다.

아직은 금융시장 불안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내놓을 정도로 상황이 나쁘지 않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그리스가 상환 만기일까지 국제통화기금(IMF)에 채무를 갚지 못할 것이란 게 다수의 예측이었다"며 "IMF에 대한 채무 불이행 자체가 공식적 디폴트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리스가 IMF 채무 15억 유로(약 1조8천700억원)를 만기일인 지난달 30일(현지시간)까지 갚지 못한 데 대해 IMF는 디폴트가 아니라 '체납(arrear)'으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민간 채권자들을 상대로 빚을 갚지 못하면 그리스는 공식적으로 디폴트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체납과 디폴트의 구분은 용어의 차이일 뿐 시장에서는 체납을 사실상의 디폴트로 받아들이는 모습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그리스 사태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움직임이 아시아·유럽시장보다는 적은 편"이라며 "정부가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내놓을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29일부터 기재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이 참여하는 점검반 회의를 매일 열어 금융시장 상황을 살피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그리스의 국민투표 불발 등 의외의 상황에 대비한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그리스 사태가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과 그리스와의 교역 규모가 미미하고 한국의 대외 건전성이 탄탄해 그리스 사태에 따른 여파로 급격한 자본이탈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그리스가 국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2%, 금융기관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0.8% 수준이다.

지난달 29일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정부는 그리스 사태가 악화돼 주변 국가로 불똥이 튀고, 그렉시트(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로 이어지는 등 최악의 경우를 가정한 비상계획을 논의하고, 대응 단계를 모니터링 수준에서 한 단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