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인구 통계 데이터] 인도, 미국은 인구 증가하고 일본, 러시아는 감소한다.. 한국 총인구 순위는 49위

○ 2015년 세계 인구는 73억 2천만 명으로, 2000년에 비해 1.2배로 증가하였고, 향후 15년간도 유사한 속도로 증가하여 2030년에는 84억 2천만 명에 이를 전망임.
   * 2060년 99억 6천만 명 전망

○ 한국 인구는 2015년 5천 1백만 명으로, 2000년에 비해 1.1배로 증가하였고, 향후 15년간에는 소폭 증가에 그쳐 2030년에 5천 2백만 명으로 정점에 이를 전망임.  * 2060년 4천 4백만 명 전망

 - 한국의 총인구 순위는 2015년 27위에서  2030년 31위, 2060년에는 49위가 될 전망임

 

 

○ 향후 45년간(2015~2060년) 대륙별 인구는 아프리카가 2.4배, 아시아는 1.2배 증가하고, 유럽은 0.9배로 감소할 전망임

 - 2015~2060년간 233개 국가(지역) 중 129개*는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78개**는 증가하다가 감소하며, 21개***는 계속 감소할 전망임. (* 인도, 미국 등  ** 중국, 브라질 등 *** 러시아, 일본 등)

 

 

○ 2010~2015년 세계와 한국의 인구성장률은 각각 1.1%, 0.5%로 한국이 세계의 절반 이하 수준이며, 2030~2035년에는 세계는 0.7%, 한국은 -0.1%수준이 될 전망임. (* 2055~2060년 세계 0.4%, 한국 -1.0% 전망)

 

 

○ 2015~2060년 기간 중 세계와 한국의 유소년 인구1) 비중은 각각 5.5%p, 3.7%p 감소하고, 생산가능인구2) 비중도 각각 3.8%p, 23.3%p 감소할 전망임. 반면, 고령인구3) 비중은 각각 9.3%p, 27.0%p 증가할 전망임.

 

 

○ 한국의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2015년 73.0%로, 1966년(53.0%) 이후 계속 증가하여 2012년 73.1%로 정점에 이른 후 감소 중임. 2030년에 63.1%, 2060년에는 49.7% 수준까지 낮아질 전망임.
 -  생산가능인구 비중 순위는 1960년 106위 수준에서 2015년 10위로 올라갔으나, 2030년 115위, 2060년 199위로 낮아질 전망임.

 

 

○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15년 13.1%로 1960년(2.9%)에 비해 4.5배로 증가한 수준이며, 이후에도 계속 증가하여 2030년에는 24.3%, 2060년에는 40.1%로 높아질 전망임.
 -  고령인구 비중 순위는 1960년 152위에서 2015년 51위, 2030년 15위, 2060년에는 2위 수준으로 높아질 전망임.

 

 

○ 세계의 합계출산율은 2010~2015년 2.5명으로 1970~1975년 4.4명에 비해 1.9명 감소한 수준임.

○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970~1974년 4.21명으로 세계에서 73번째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2010~2014년에는 1.23명으로 세계에서 4번째 낮은 수준임.

 

 

○ 세계의 기대수명은 2010~2015년 70.0세로 1970~1975년 58.8세에 비해 11.2세 증가함.

○ 한국의 기대수명은 1970~1974년 62.7세로, 세계에서 98번째 수준이었으나, 2010~ 2013년에는 81.3세로 14번째 수준으로 올라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