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국 경제성장률은 왜 자꾸 하향조정 되는 걸까?

OECD의 'Economic Outlook' 생방송
OECD의 'Economic Outlook' 생방송

메르스 사태, 신흥국 경제 둔화, 원화 강세가 수출 부진 원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대로 다시 낮춰 잡았다.

 OECD는 9일 내놓은 '세계 경제전망(Economic Outlook)'에서 한국 경제가 올해 2.7%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6월 전망치(3.0%)에서 5개월 만에 0.3%포인트 하향조정된 것이다.

OECD의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이미 수차례 하향주정되었다. 지난해 5월 4.2%를 제시했다가 6개월 만인 11월에 3.8%로 낮췄고, 올 6월 다시 3.0%로 0.8%포인트나 내린 뒤 이번에 다시 끌어내렸다. 1년 반 사이에 1.5%포인트나 깎이게 된 것이다.

OECD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3.6%에서 3.1%로 낮췄으나, 2017년 전망치는 3.6%를 제시해 성장세가 다소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른 경제기관의 전망치도 크게 다르지 않다. 기관별 전망치는 다음과 같다.

IMF(국제통화기금 ) : 3.1% → 2.7% 하향조정
LG경제연구원 : 2.6%
한국개발연구원 : 3.0%
현대경제연구원 : 2.5%
컨센서스 이코노믹스 : 2.5%
한국 정부 : 3.1%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이유론 메르스 사태로 인한 수요 부진, 중국 등 아시아 신흥국의 수요 둔화, 원화 강세에 따른 수출 부진이 꼽혔다. 또한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 역시 민간 소비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위험부담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 경기둔화로 인한 수출부진 우려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대외적인 하방(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꼽았다.

OECD는 한국 경제의 현 상황에 대해 "한국 정부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포함한 광범위한 구조개혁으로 잠재성장률을 높이는 데 정책의 최우선순위를 둘 필요가 있다"라고 권고했으며, "경기회복을 위해 재정·통화 등 거시정책을 추가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노동인구 감소에 대비해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OECD가 전망한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2.9%, 내년 3.3%, 2017년 3.6%였다.

중국은 6.8% 유지, 미국은 2.4%로 상향조정, 일본은 0.6%로 하향조정, 유로존은 1.5%로 상향조정, 인도는 7.2%로 상향조정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