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북한 핵실험에 유엔 안보리가 적극적 대처를 하지 못하는 이유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유엔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긴급 회의를 열어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안보리는 2006년 이후 북한의 핵 개발 계획을 중단시키기 위해 4차례에 걸쳐 결의안을 채택해왔다. 그러나 결의안 채택은 핵무기 실험에 대한 전 세계의 지속적인 비난 후에야 겨우 이루어질 수 있었다.

랜드 연구소의 수석 애널리스트 '티모시 히스'는 "북한에 대한 국제적 제재는 핵 개발 억제에 거의 효과가 없었다. 북한이 이미 국제 경제에서 고립되어 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국가 제재는 대개 해당 국가의 국제 무역에 제한을 부과하는 것이나, 북한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가난하고 개발이 덜된 지역 중 하나이며, 교역 규모도 미약하다. 더욱이 무역 제한으로 타격을 입는 것은 민간인이지 수뇌부나 핵 개발 계획이 아니다. 북한에 대한 엄격한 제재가 어려운 것은 이 때문이다.

과거에도 안보리 산하 15개국은 북한의 핵 개발 억제에 대해 만장일치로 찬성했으나, 적극적으로 제재를 가한 국가는 한 곳도 없었다. 이는 핵 개발에 대한 묵시적 지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제재의 효과가 생각만큼 크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한반도 문제 담당자인 '리사 콜린스'는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라는 목표를 선언하고 북한의 핵 실험에 반대했으며, 유엔 역시 같은 수준의 대응을 했으나, 실질적으로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이번에도 중국은 안보리가 부과하는 새로운 제재 방식을 따르겠지만, 궁극적으론 어떠한 결의도 완수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은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해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북한에 핵 확산금지약(NPT)에 가입할 것을 요구했다. 수소폭탄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폭의 3,800배의 위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