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나혼자 산다"…2050년엔 10가구중 4가구 '1인'

국토정보공사 '대한민국 2050 미래항해' 보고서

핵가족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30여년 후인 2050년에는 10가구 중 4가구가 '1인 가구'일 것으로 예측됐다.

또 고령화의 진전으로 노인 가구가 2010년의 3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8일 공개한 '대한민국 2050 미래 항해' 보고서는 통계청의 인구 자료 등을 토대로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으로 2050년 우리나라의 주거문화를 예측했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1950년대 말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제이 포레스터 교수가 개발한 미래예측 기법으로, 사회현상의 원인과 결과의 상호순환 구조를 모델화해 미래 사회를 전망한다.

◇ 대세로 굳어지는 1인 가구

보고서는 2050년에는 우리나라 가구의 35%가 1인 가구일 것으로 예측했다.

인구는 2030년에 정점을 찍고 이후 줄어드는 데 비해 1~2인 가구가 늘어나는 가구분화는 계속 진행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5년 5천84만명에서 2030년 5천221만명까지 오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해 2050년에 4천763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총 가구수는 핵가족화가 꾸준히 진행되면서 2015년 1천918만 가구에서 2030년 2천234만 가구로 늘어났다가 2050년 2천209만 가구로 소폭 줄어든다.

반면 1인 가구는 2015년 517만 가구(27%)에서 2030년 724만 가구로 증가하고 2050년에는 763만 가구(35%)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비해 4인 가구의 비율은 2015년 19%에서 2050년 13%까지 감소한다.

이는 노인가구와 미혼가구의 급격한 증가 때문이다.

특히 고령화로 인해 1인 노인 가구는 2010년 115만 가구이던 것이 2050년이 되면 3배 넘는 429만 가구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1인 미혼가구도 크게 늘어나 2050년에는 329만 가구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된다.

가구를 구성하는 평균 인원수는 2000년만 해도 3.1명이었지만 2050년에는 2.1명으로 줄어든다.

보고서는 "노인 가구는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등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사회복지 차원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홀몸노인의 경제 상태와 주거 상황, 사회관계 등 다양한 각도에서 정책을 구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2050년 빈집 10% 넘어

우리나라 주택수는 2010년 1천762만 채에서 2030년 2천496만 채로 증가하고 2050년에는 2천998만 채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주택보급률(가구수/주택수)은 2010년 101%에서 2050년 140%로 오른다. 2050년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147%, 경기도는 141%로 예측됐다.

인구 1천명당 주택수는 2010년 353채에서 2050년 629채로 2배 가까이 증가한다.

미래에는 부족한 주택이 문제가 아니라 과잉 공급된 주택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특히 우리나라 빈집 수는 2010년 73만 채(4.1%)에서 2030년에는 128만 채(5.1%)에 이어 2050년에는 302만 채(10.1%)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빈집 문제가 이미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한 상태다.

일본은 2013년 빈집이 820만 채로 전체의 13.5%를 차지했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공가관리업이라는 새로운 업종도 나왔다.

보고서는 "빈집 현황을 파악하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미래 빈집의 변화추이를 예측해 폐가정비, 도시재생, 이주정책 등 도시 및 지역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토부는 이에 대해 "도심 내 빈집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마련하고 있다"며 "좀 더 체계적인 빈집 실태조사 및 빈집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고자 연구용역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