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밀려오는 수입계란... 품질확인 어렵다

밀려오는 수입계란... 품질확인 어렵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인해 외국산 계란이 이번 주말부터 시중 마트에 진열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계란의 품질 관리가 사실상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외국산 급하게 들여온 외국산 계란의 품질 관리도 사실상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9일 축산물 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 식용 계란 가운데 등급판정을 받은 계란은 전체 계란 생산량의 7.5%로 추정된다.

계란 등급제는 계란의 품질 향상을 통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자는 취지에서 2003년 도입된 제도다.

축산물 품질평가원은 무작위 샘플 추출 방식으로 계란의 외관에 금이 가 있는지와 껍데기를 제거해 내용물을 검사하는 할란 검사로 등급을 매긴다.

등급은 중량 규격(왕란, 특란, 대란, 중란, 소란)과 품질등급(1+, 1, 2, 3등급)으로 결정되며, 계란 껍데기와 포장 용기에 표시된다.

특히 계란 등급과 규격은 물론, 생산농가와 산란장, 집하장 등이 표시돼 쇠고기나 돼지고기처럼 생산부터 유통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문제는 등급제가 쇠고기, 돼지고기처럼 의무 사항이 아닌 권장 사항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계란은 등급판정을 자발적으로 신청한 집하장 46곳에서만 이뤄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제도가 도입된 지 15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등급판정을 받는 계란은 2015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7%대에 머물고 있다.

물론 등급제 외에 '무항생제 인증', '동물복지 인증',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등 계란 구매 시 참고할 만한 다른 인증제도가 있기는 하지만, 이마저도 시행 기관이 제각각이어서 일관된 기준이 있다고 하기 어렵다.

밀려오는 수입계란... 품질확인 어렵다

축산물 품질평가원 관계자는 "전체 생산량과 비교해서는 미미하지만 해마다 등급판정 비율이 늘어나고는 있다"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등급판정 비율이 지금보다 훨씬 더 올라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계란 등급제 확대를 계속 논의하고는 있지만, 계란 등 식품 유통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관이어서 부처 간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보니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