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시중은행 대기자금 300조 시대...”은행만 배불릴 수 없다“

시중은행 대기자금으로 불리면서 요구불 예금 규모가 327조원으로 나타나 사상 첫 300조 시대를 맞았다.

요구불예금은 예금주가 지급을 원하면 은행으로부터 조건없이 지급받는 예금 상품으로 현금과 유사한 유동성을 지녔다는 것이 특징이다.

요구불 예금 성격이 강한 MMDA(Money Market Deposit Account)까지 합치면 그 규모는 416조원으로 뛰어 넘으면서 시중은행의 주요 고객인 가계와 기업이 뚜렷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현상을 나타내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요구불예금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327조3천672억원으로 전년 말(285조6천257억원)에 견줘 41조7천415억원이 늘었다.

은행권은 늘어나는 요구불 예금을 환영하는 분위기인데 대출금리를 뜻하는 여신금리와 달리 수신금리는 대부분 상품서 연 0.1%대에 불과하다보니 예대마진을 통한 수익성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요구불 예금이 직장인 급여통장 혹은 기업 자금 거래 통장이라는 점에서 적금과 카드 등 다양한 상품으로 파생되어 실적을 올릴 수 있다.

시중은행 뿐 아니라 저축은행 또한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가진 2∼3년 만기 장기예금이 각광받으면서 지난해 3분기 말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37조7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20.8%(6조5천억원) 늘었다고 예금보험공사가 이날 밝혔다.

이중 이 중 만기가 1년 이하인 정기예금 잔액은 27조6천억원으로 17.4%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만기 1년 초과 3년 이하인 정기예금 잔액은 26.3% 늘어난 9조6천억원을 기록했고 3년을 초과하는 정기예금(5천억원)은 1년 전 1천억원에서 400% 불었다.

이는 은행에게 실적 호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시중은행을 주력 계열사로 두고 있는 금융지주는 요구불예금 증가 등으로 예대마진이 개선됐는데 이에 따른 작년 큰 폭의 실적 향상이 예상된다.

시장에선 업계 1,2위인 신한지주[055550]와 KB금융[105560]이 지난해 순이익 2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은 증시가 박스권을 맴돌고 있는데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고 부동산 경기도 정부 규제 강화로 호황 시기를 지나 소강 상태로 접어든 상태에 따른 것이다.

주식 차트

투자 전문가들은 자산이 동원할 수 있는 실탄 규모에 따른 맞춤형 투자 전략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을까

KEB하나은행 강남PB센터 고재필 팀장은 "5천만원 이하의 투자자에게 중요한 것은 원금을 지키는 것"이라며 "종잣돈이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자산과 약간의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충고했다.

고 팀장이 제시하는 구체적인 투자처로는 중위험 중수익 금융상품인 주가연계증권(ELS)와 비과세 혜택이 아직 남아 있는 ELS변액보험 또는 펀드변액보험이 고려 대상인데 이들은 세법 개정으로 조만간 비과세 혜택이 축소되므로 이에 관심이 있다면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그러면서 고 팀장은 여윳돈이 5천만원에서 1억원 정도 있다면 세금을 염두에 두고 원천징수가 되지 않은 상품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런 측면에서 그는 국내 주식, 비과세 해외펀드, 브라질 국채 등을 추천했다.

그러면서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에 대해 고 팀장은 "자산의 20∼30%는 안전자산에, 50% 정도는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며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에 고루 투자해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할 것을 조언했다.

꾸준한 현금을 창출하는 부동산 자산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수 있다.

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신동일 부센터장은 소형 오피스텔 등 꾸준하게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역세권 오피스텔을 투자 대상으로 추천했다.

그러면서 신 부센터장은 자산을 3:3:4로 나누어서 안전자산은 30%, 적극적 투자자산은 70%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것을 조언하며 ELS와 해외주식, 채권에 골고루 나눠 투자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다만 고 팀장은 금융당국이 부동산 시장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인 데다가 대출금리 상승도 예상된다는 이유에서 부동산 투자에 대한 주의를 권유했다.

신 부센터장은 "실소유 차원에서 작은 평수의 아파트는 여전히 투자대상이다. 역세권, 강남이 여전히 유효한 투자처"라며 "다만 대출금리 인상이 예상되기 때문에 무리해서 집을 장만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