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칼럼] 나목의 속삭임

대학 나의 연구실 앞에는 백일홍이 한그루 서 있다. 내가 우리 캠퍼스 총장을 할 때 식목일 기념으로 심은 나무이다. 처음 옮겨 심으면서 삽을 쥔 사람들이 부산을 떨 때에는 그렇게 튼튼하지도 않고 모양도 그리 아름답게 보이지 않았다. 그래도 기념식수라고 직원들이 나무막대에 식목일자와 내 이름까지 적어 놓으니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다. 본래 나무와 풀과 꽃을 좋아해서 산으로 들로 등산이나 산책을 자주 가는 편이고, 계절에 따라 옷을 갈아 입는 모습을 보고 남모르는 즐거움으로 삼고 살아왔다.

그런데 간혹 대학 나의 연구실에 들러 할 일을 마치고 나면 꼭 이 백일홍에 시선이 간다. 창가로 고개를 쑥 내어 밀어야 보이지만 바로 내 연구실 앞이라 나무 전신이 잘 보이는 편이다. 봄에는 자그마한 초록 잎들이 돋아나 점차 크기를 키워 가면 제법 세상의 흐름을 잘 느끼게 하다가 여름에는 잎이 무성해지고 빨간 꽃들이 달리기 시작한다. 이름대로 백일동안이나 빨간 꽃을 피우니 지나가는 사람들의 사랑을 제법 받을 만큼 시선을 끈다. 학생들이 커피를 사들고 와서 옆에 있는 의자에 앉아 속삭거리며 커피를 조금도 나누어주지 않아도 전혀 불평을 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늦가을이 오면 꽃이 먼저 떨어지고 잎까지 하나 둘 떨어지기 시작하여 겨울이 되면 잎이 하나도 남지 않게 된다. 완전히 옷을 발가벗어버리는 셈이다. 이 시기에는 겨울방학이라 학생들도 거의 나무 앞을 지나가지 않는다. 간혹 학교에 나오는 교수와 행정직원들이 옆을 지나가는 수가 있지만 거의 쳐다보는 법이 없다. 발가벗고 있는 모습이 부끄러워서 그런 것 보다는 잎도 꽃도 없는 몸매가 전혀 볼거리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나는 간혹 학교를 들리게 될 때는 백일홍 나무를 유심히 바라본다. 나에게 자신만의 독백을 전하려고 하는 것 같이 생각되기 때문이다. 오늘은 이번 겨울 중에서도 유난히 추운 날이다. 해가 비치는데도 귀와 코가 시리고 볼이 아린 것을 느낄 수 있다. 나무는 맨몸으로 나에게 말하고 있다. “입은 옷조차 다 벗고 맨 몸으로 견뎌야 비로소 이 추운 겨울을 견딜 수 있어요”라고 속삭이는 것이다. 새 생명이 솟아나는 봄을 맞이하기 위하여서는 실 한 오라기도 걸치지 않고 지나는 인고의 세월을 견뎌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인간도 마찬가지이다. 새 사람이 되기 위하여서는 한 번씩은 발가벗고 묵은 때를 벗어내어야 한다. 뜨거운 수증기에 마음의 찌꺼기도 완전히 걷어내어 버려야 한다. 나목이 추위를 견뎌내듯이 우리 인간들도 심신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따르는 고통을 흔쾌히 감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김영종 동국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