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데스크톱·노트북 감소세 뚜렷…스마트패드도 증가세 꺾여

스마트폰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가구의 PC 보급률이 2001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통계'에 따르면 표본조사를 통해 집계된 2016년 우리나라의 가구 컴퓨터 보유율은 75.3%로, 2001년 이래 최저였다. 여기서 '컴퓨터'는 데스크톱·노트북 컴퓨터나 스마트패드(태블릿)를 가리키며, 스마트폰은 포함하지 않는다.

가구 컴퓨터 보유율은 2000년 71.0%에서 2001년 76.9%, 2002년 78.6%로 늘어난 뒤 대체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그러다 2012년 82.3%로 역대 최고치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 후 스마트폰이 보급돼 이용자들이 집에서 PC 대신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2013년 80.6%, 2014년 78.2%, 2015년 77.1%로 컴퓨터 보유율이 급속히 줄었다. 2016년 컴퓨터 보유율도 전년 대비 1.8% 포인트 더 떨어졌다.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도 보유율이 줄고 있다. 데스크톱은 2013년 76.6%, 2014년 70.2%, 2015년 67.3%에 이어 2016년 64.5%로, 노트북은 2013년 28.0%, 2014년 30.5%, 2015년 29.9%에 이어 2016년 26.9%로 감소했다. 가구 스마트패드 보유율은 2013년 7.8%, 2014년 8.7%로 늘었다가 2015년 8.0%, 2016년 7.7%로 하락했다.

2013년 이후 우리나라 가구가 가장 흔히 지닌 정보통신기기는 스마트폰으로, 보유율은 2013년 79.7%, 2014년 84.1%, 2015년 86.4%였다.

2016년 가구 스마트폰 보유율은 88.5%에 이르렀으며, 디지털TV(82.2%)가 그 다음이었다. 데스크톱 컴퓨터(64.5%), 노트북 컴퓨터(26.9%), 게임기(4.3%), 웨어러블 기기(4.0%) 등은 비중에서 밀렸다.

이보다 10년 전인 2006년에는 데스크톱 컴퓨터의 보유율이 78.5%로 가구 정보통신기기 중 가장 흔했으며, 지금은 스마트폰에 밀려 거의 사라진 MP3 플레이어(30.5%)가 두번째였다. 디지털TV 보유율은 16.8%에 불과했으며, 노트북 컴퓨터(11.6%)도 지금보다는 드물었다. 게임기(6.9%), 개인휴대단말(PDA)(1.5%) 등도 있었다.

인터넷 이용률(조사시점 기준 1개월 이내에 1회 이상 이용 기준)은 만 3세 이상 인구 기준으로 88.3%에 이르렀다. 이는 2006년(74.1%), 2011년(78.0%)보다 훨씬 높다.

연령별로 보면 고령층(65세 이상)과 비(非)고령층(65세 미만)의 '스마트화 격차'가 엄청나게 컸다.

고령층의 스마트폰 보유 비율은 31.7%로, 비고령층(93.9%)의 3분의 1에 불과했으며, 고령층과 비고령층의 스마트패드 보유 비율(0.2% 대 4.6%), 웨어러블 기기 보유 비율(0.2% 대 2.2%)은 비율 격차가 더욱 현격했다.

또 고령층과 비고령층의 인터넷 서비스 유형별 이용 비율도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17.3% 대 68.3%, 모바일 게임 9.6% 대 52.4%, 인터넷 쇼핑 6.4% 대 60.9%, 인터넷 뱅킹 7.1% 대 61.0% 등으로 격차가 매우 컸다.

그나마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 비율(61.4% 대 94.6%)에서 고령층과 비고령층의 격차가 작은 편이었다. 이는 '카카오톡'의 보급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 비율은 2011년에 13.4%에서 2016년 38.4%로 늘었고, 고령층 인터넷 이용자 수도 같은 기간에 74만2천명에서 263만6천명으로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