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GM. 한국 GM 경영난에 지원 요청...‘부실 책임 규명 無‘ 비판

GM

GM이 자회사인 한국GM의 경영난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면서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가 한국GM에 대한 지원을 미국GM 본사와 협의하고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인정하면서
지원 여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한국GM의 부실 원인과 GM의 책임부터 철저히 가려내는 작업이 먼저 이뤄졌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11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GM 본사가 요구한 한국GM에 대한 재정 지원 방안을 놓고 경제부처들이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앵글 사장은 한국GM 2대 주주인 산업은행에 3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 참가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 지분대로라면 5100억 원가량을 출자해야 한다.

한국 정부가 이 같은 요구를 거절할 경우 GM이 한국에서 철수할 가능성도 있다.

최소 30만 명의 일자리가 걸려 있는 만큼 정부 지원은 어쩔 수 없다는 주장과 미국 GM만 배불리는 조치라는 반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2016년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국내 자동차 업체 가운데 1만 명이 넘는 직원을 고용하는 대기업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그리고 한국GM 세 곳뿐이다. 한국GM의 고용 인력은 모두 1만6천31명으로, 매출 100억 원이 넘는 1천81개 자동차 관련 업체 전체 직원 수(33만5천745명)의 4.8%에 이른다.

여기에 한국GM과 거래하는 협력업체(1~3차) 수도 3천여개가 넘기 때문에, 경영난 '도미노'가 불 보듯 뻔하다. 한국GM 노조 등은 GM이 한국에서 철수하면 관련 종사자와 가족 등까지 모두 30만 명이 피해를 입는다는 것이다.

12일 한국GM에 따르면 2014~2016년 3년간 누적 당기순손실 규모는 약 2조원에 이르고, 지난해 역시 2016년과 비슷한 약 6천억 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4년간 적자 규모가 2조5천억 원을 넘는다.

유럽 시장 등에서 GM이 철수하면서 한국GM의 수출도 그만큼 줄었지만, 인건비 등 고정비는 판매 감소와 상관없이 꾸준히 올라 더는 감당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는 얘기다. 한국GM이 이처럼 막다른 길에 몰린 것은 결국 한국자동차 업계의 고질병인 '고비용 구조' 탓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GM 본사가 ‘철수설’을 인질로 삼아 자구노력 없이 한국 정부의 지원만 받아내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적 시각이 크다. 사실 한국GM 경영난의 가장 큰 이유는 차가 안 팔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GM 본사가 부담을 떠넘기는 것도 손실의 원인이라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한국GM은 CKD(반제품 조립) 수출량까지 포함해 모두 126만대의 차량을 판매했다. 이 가운데 국내시장에 18만275대, 나머지 약 120개국에 완성차·CKD 방식으로 107만대를 팔았다. 수출이 전체 판매량의 85%,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구조다.

이런 상황에서 GM의 대대적 글로벌 사업 재편이 진행되자 '수출 위주' 한국GM이 직격탄을 맞았다.

또 다른 문제는 높은 매출원가율(매출액 대비 매출원가 비율)이다. 한국GM의 경우 2014∼2016년 평균 매출원가율이 93.8%에 이르는데, 다른 자동차 제조사의 원가율이 80∼85%인 것과 비교하면 10% 포인트 이상 높다. GM 본사가 부품 등을 비싸게 넘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