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국 창업자, “혁신형 창업 21%, 생계위한 창업 63%”

한국에서 창업하는 사람 중 63%가 생계를 위해 창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이나 새로운 아이디어로 성공의 기회가 생겨 창업하는 기회 추구형(혁신형) 창업은 21%에 불과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하 현경연)은 14일 '벤처활성화 지원 정책의 실효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창업 목적은 생계형이 63%로 미국(26%), 이스라엘(13%)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전했다.

또 기회 추구형 창업은 한국이 21%에 불과했지만, 미국이나 이스라엘, 핀란드, 스웨덴 등은 모두 50%를 웃돌았다.

이렇게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창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창업에 대한 심리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위축된 상황이다.

한국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는 응답자가 42%로 미국(29.7%)이나 스웨덴(36.5%), 핀란드(36.8%)보다 높았다.

또 벤처 기업이 투자를 받는 비중이나 규모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부족했다.

한국의 벤처캐피탈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0.06% 수준으로 스웨덴(0.66%)이나 이스라엘(0.38%), 미국(0.28%)보다 낮았다.

아울러 벤처 투자를 받는 기업의 비중도 0.139%로 스웨덴(1.427%), 핀란드(1.378%), 이스라엘(0.386%)과 비교해 크게 떨어졌다.

벤처 기업이 중간·성장 단계에서 투자를 받는 경우도 다른 나라보다 부족했다.

실제로 한국의 벤처투자는 업력이 3년 미만인 초기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가 30.8%였고 중간 성장단계인 3∼7년은 24.8%뿐이었다. 반면 후반 단계인 7년 이상의 벤처 기업에는 전체 벤처 투자의 44.4%가 투자되고 있다.

반면 이스라엘(68.4%)이나 스웨덴(60.9%), 핀란드(57.3%), 미국(49.6%) 등은 3∼7년 차 기업들에 투자하는 비중이 컸다.

벤처기업의 회수 단계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취약했다.

최근 증시 여건이 나아지고 코넥스 개장 등으로 벤처기업의 기업공개(IPO) 건수가 늘고 있지만, IPO까지 걸리는 시간은 11.9년으로 미국(7.5년)보다 4년 넘게 더 걸렸다.

또 인수·합병(M&A)을 통한 회수 비중도 미국의 3.6%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한국은 창업에 실패할 경우 재도전 할 수 있는 여건도 나빴다.

한국의 평균 재창업 횟수는 0.8회로 미국(1.8회)과 비교해 크게 낮았다.

창업을 위한 자금 조달 비중도 자기자금이 80%로 높다 보니 창업에 한번 실패하면 자금조달이 그만큼 어려워 재창업을 어렵게 한다.

조호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창업·벤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업성장단계별로 자금 지원과 기술이전, 재도전과 창업 의식 등 환경을 보완해 정책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그는 "죽음의 계곡이라 불리는 중간 성장 단계를 지원하기 위한 투자자금을 꾸준히 발굴하고 창업 보육 기관의 경쟁력 강화도 시급하다"며 "실패는 경험이라는 인식을 확산시켜 재도전이 가능한 사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