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실업자수 1백만명대"...취업자만큼 늘어난 그림자

취업자수 2천623만5천명으로 2015년보다 29만명 늘었지만
실업자수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첫 1백만명대
대한상의 조사에서 채용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 27.7%
기업들 올해 ‘소비심리 회복’ 바라지만 노동시장 악화는 소비 위축으로

우리나라 고용지표가 지난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체제 당시보다 더 혹독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지표를 작성한 이래 처음으로 우리나라 실업자수가 1백만명을 넘어간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중 청년층은 4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구조화되면서 경제의 활력이 떨어졌고 이에 따른 고용한파가 불어닥친 것이다.

11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고용동향에는 지난해 취업자수는 2천623만5천명으로 2015년 대비 29만9천명 늘어났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724만7천명이며 이에 따른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율은각각 62.8%, 60.4%를 보여 상승세를 보였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8만6천명이 늘어난 반면, 일용근로자는 8만8천명 감소했다.

취업자수는 정부가 지난 6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목표로 정한 30만명에 다소 미치지 못했지만 상승세를 보여 고용지표가 호조세를 보인 것으로 보이지만 실업자수를 보면 부정적인 면 또한 만만치 않다.

취업자수가 늘어난 만큼 실업자수도 늘어났는데 실업자수 수치를 보면 지난 IMF 이후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보다 암울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실업자는 101만2천명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는데 IMF 이후인 2000년 97만9천명을 정점으로 찍은 이래 2008년 76만9천명까지 떨어졌지만 2013년 80만7천명으로 상승세를 찍다 지난해 100만명을 넘어섰다.

연간 실업률은 3.7%로 2010년 이후 최고 수치고 청년실업률은 9.8%로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 치웠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162만5천명으로 160만명을 넘어섰는데 이중 취업준비생은 62만8000명, 구직단념자는 44만8000명을 보였다.

고용지표가 악화된 데에는 구조조정 여파로 인해 제조업 취업자수가 급락한 탓이 크며 이 영향으로 광공업 취업자수도 2012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제조업 취업자수는 지난해 매달 15만명 이상 증가세를 보였지만 4월부터 증가폭이 둔화되더니 7월부터 감소세로 전환해 12월에는 11만5천명까지 감소했다.

광공업 취업자수는 2012년 3월 11만4천명이 감소한 이래 가장 큰 11만명의 감소세를 보였다.

얼어붙은 고용시장 탓에 자영업자가 증가했는데 2015년 6월 이후 감소세를 보인 자영업자는 지난해 8월 증가세로 전환해 지난해 12우러에는 15만5천명까지 증가폭이 커졌다.

경기불황의 영향을 크게 받는 자영업 특성에 자영업자 수가 늘어나면서 자영업 경기가 악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013년 8.0%를 시작으로 지난해 9.2%까지 증가한 청년(15~29세) 실업률도 올해 대내외 정세불안까지 겹쳐 10%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이 경력자 위주로 채용하는 추세가 자리를 잡으면서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9만5천명으로 16.1%나 늘어 2.5% 늘어난 취업 유경험 실업자(91만7천명) 보다 증가세가 컸다.

정부는 올해 일자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1분기에 올해 일자리 예산 17조원 중 30% 이상인 5조원 이상을 조기 집행할 방침을 밝혔지만 정부의 의도대로 될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다.

기업들의 채용 의지도 변수인데 대한상공회의소가 2천4백여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 10일 내놓은 ‘2017년 1분기 제조업체 경기전망지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27.7%에 불과했는데 기업 규모별로 보면 ‘올해 신규 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대기업은 26.3%, 중소기업은 27.8%에 불과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청년뿐만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고용 사정이 나빠지고 있는 게 문제"라며 "노동시장 악화는 전반적인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감소시켜 소비를 위축시키고 다시 경기 상황을 하강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대한상의 조사에서도 절반이 넘는 55.7%의 기업들은 올해 시급한 정책과제로 ‘소비심리 회복’을 꼽아 노동시장 활성화가 올해 경제의 변수로 크게 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