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中, 美와 포괄적 경제대화에 긴장속 '낙관'…"무역전쟁 없을 것"

중국은 19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국과의 포괄적 경제대화에서 무역 불균형 문제가 핵심 의제가 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양국이 접점을 찾아 무역전쟁으로 확산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했다.

중국 관영 매체와 전문가들은 여러 현안이 거론될 것으로 보면서도, 지난 4월 마라라고 미중 정상회담 직후 마련된 '100일 계획'을 통해 중국이 대미 수입을 늘렸고 앞으로도 확대할 방침이어서 이번 경제대화는 '상호 윈-윈(win-win)'의 결과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19일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영문 자매지인 글로벌 타임스는 관변 학자들을 인용해 중국 내의 이런 분위기를 전했다.

이 신문은 미중 양국간 무역 불균형 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이나, 이번 경제대화가 미·중 경제 및 무역 관계에 새로운 자극이 될 것이며 양자 및 글로벌 도전에 협력하는 장(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지난 9일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간 경제·무역 관계 유지를 재확인한 이후 이번 포괄적 경제개화가 열리는 점에 주목했다.

가오펑(高峰) 상무부 대변인은 최근 브리핑을 통해 미중 양국의 '100일 계획'이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하고, 이번에는 '1년 협력계획'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100일 계획'에 따라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14년 만에 허용한데 이어 농업·에너지·금융 분야 시장을 미국에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있다.

좡루이(庄芮) 대외경제무역대학 국제경제연구원 부원장은 "100일 계획은 성과를 냈으며 새로운 형태의 미·중 경제 및 무역 관계의 서곡"이라면서 "미국이 대중국 무역 적자를 우려하고 있어 중국과 무역 균형 유지가 이번 대화의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대미 무역 흑자는 지난 6월 현재 254억 달러로 전달 220억 달러에 비해 늘어 2015년 10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 중국 관변 학자들은 중국이 미국에 금융·여행 서비스 분야를 추가로 개방해야 하며 미국도 중국에 최첨단 기술 제품 수출을 허가해 무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가오롄쿠이 중국 인민대 교수는 "미국이 철강과 같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강경한 자세를 취해왔지만 양국 간 무역전쟁을 일어나지 않을 것 같다"면서 "이번 경제 대화는 양국이 경제 성장을 높이고 세계 경제를 위기에서 벗어나도록 힘을 모으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좡루이 부원장은 이번 경제 대화에서 2008년에 논의가 시작된 미중 양자 투자 협정(BIT) 문제도 논의될 것이라면서 "BIT가 수년 전에 체결될 것으로 보였으나 트럼프가 집권한 이후 협정 체결 전망이 흐릿해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제조업 성장이 중국의 경제 발전을 이끄는 주요 요소인 반면 트럼프는 제조업 일자리를 미국으로 되찾아오려고 하고 있어 양측이 균형점을 찾는 게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이번 사상 첫 양국 간의 경제 대화는 양자 경제 및 무역 관계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트럼프 미 행정부는 근래 대북제재 미흡을 이유로 중국에 대한 압박과 제재의 강도를 높이고 있어 이번에 어떤 압박 카드를 내놓을 지에 대해 중국 내에선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특히 지난 4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 발사 도발을 감행한 데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대북 추가제재가 논의되는 가운데 미 행정부가 대북 원유공급 중단을 요구한 데 대해 중국이 수용 불가 입장을 보여, 미국이 이번 포괄적 경제대화에서 어떤 식으로든 중국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 행정부는 이미 중국을 최악인신매매국으로 지정한 데 이어 대만에의 첨단무기 판매를 승인했으며, 북한과의 불법거래를 이유로 단둥(丹東)은행 독자제재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여기에 미 행정부가 중국 기업과 금융기관들을 겨냥해 북중 간 정상적 거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세컨더리 보이콧'(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기업·개인 제재)을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아울러 중국의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을 직접 겨냥해 추가 수입관세 부과 조처를 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