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中, 美의 '인도·태평양 전략' vs '중국 봉쇄 의도‘ 강력 반발

인도 태평양 전략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의 '인도·태평양(Indo-Pacific) 전략'이 본격화하면서 중국이 대응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4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 겅솽(耿爽)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지역적 협력은 정치화하거나, 배타적으로 흘러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는 미국·인도·일본·호주 등 4개국 외교부 국장급 관계자들이 12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인도·태평양 전략'을 논의한 데 대한 경고성 발언으로 분석됐다.

중국 정부가 공개 석상에서 경고성 발언까지 한 이유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당사자인 4개국이 모여 본격적으로 논의한 것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007년 처음 제시한 인도·태평양 전략은 미국·일본·인도·호주 등 4개국이 중심이 돼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항행의 자유'와 법치주의, 공정하고 호혜적인 무역 등을 보호하자는 것으로 집약할 수 있다.

미국과 일본의 '중국 봉쇄' 의도가 다분히 느껴지는 이 전략에 그동안 인도와 호주는 참여를 꺼렸으나 중국이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본격화하고 남중국해 영유권 '독식' 의지를 본격화하자 서서히 태도 변화를 보였다.

올해 도카라(중국명 둥랑<洞朗>) 지역에서 인도와 중국의 국경분쟁까지 터지자, 인도와 호주가 인도·태평양 전략 동참을 굳인 것으로 보인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하며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 논의에 본격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모디 총리는 "우리는 지역 내 파트너들이 강하고, 독립적이고, 번성하고,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기를 원한다"며 "어떠한 나라도 다른 나라의 '위성'(satellite)으로 전락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일대일로 전략을 본격화하면서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을 급속히 키워가는 중국에 대한 경계의 의미가 담긴 발언이었다.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인도, 베트남 등과 잇따라 접촉하면서 미 행정부의 새로운 아시아 전략의 기반이 되는 인도·태평양 전략 선전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었다.

영국 런던대 동양·아프리카대(SOAS) 산하 중국연구소의 청루이성(曾銳生·스티브 창) 소장은 미국의 쇠퇴와 중국의 부상이라는 새로운 국제 정세를 맞은 중국의 주변국들이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심을 가질 이유가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청 소장은 "중국의 주변국들은 중국의 '말'에 귀를 기울이면서도 그 실제 '행동'을 유심히 지켜볼 것"이라며 "중국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주변국을 안심시키지 않는 한 주변국의 불안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국사회과학원의 동남아 전문가인 두지펑은 "중국 정부는 이러한 안보 동맹을 경각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베트남과 같은 주변국까지 포섭할 경우 이러한 동맹은 지정학적 형세를 뒤흔들어 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