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5G시대 통신비 상승 예상…초기엔 쓰는 만큼 내는 종량제 유력

오지

내년 차세대 이동통신 5G 상용화를 앞두고 통신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초기에는 이통사의 투자 부담이 커지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전체적인 요금 수준이 올라가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부담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통신업계와 증권가에 따르면 내년 3월 5G가 상용화하더라도 일반 소비자가 누릴 수 있는 서비스는 제한적일 것으로 관측된다. 5G 스마트폰이 내년 1분기 이후에나 출시될 예정인 데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5G 기반 콘텐츠들이 시장에 자리 잡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통신사들은 상용화 초기 스마트팩토리, 커넥티드카 등 B2B(기업용) 서비스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5G 주파수 경매에 따른 부담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경쟁이 치열한 3.5㎓ 대역에서 비교적 균등 분할이 가능해지면서 총 낙찰가는 4조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5G에 따른 통신사의 수익성 개선은 2020년 이후로 전망된다.

하나금융투자는 전날 보고서에서 2021년 통신 3사의 영업이익이 올해(3조7천억원)보다 70% 이상 증가한 6조2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2∼2017년 LTE 보급 6년 동안 이동전화 매출액 성장률 20%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산출한 수치다.

하나금융투자는 5G 시대에도 통신사의 매출 증가 전략이 LTE 때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LTE 도입 당시 통신사들은 무제한 요금제를 바로 도입하지 않고, 이용자가 더 비싼 요금제에 가입하도록 유도했는데 5G 시대에도 초기 매출을 늘리기 위해 무제한 요금제를 초기에 출시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초기 요금제는 현재 데이터 요금제와 같은 정액 방식이 아니라 쓰는 만큼 과금하는 종량제가 유력하다. 종량 요금 체계에서 이통사의 ARPU(가입자당평균매출)는 크게 뛸 것으로 예상된다. UHD(초고화질), 홀로그램 등 대용량 콘텐츠가 늘면서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기 때문이다.

하나금융투자 김홍식 연구원은 "5G 시대엔 전략적으로 통신사들이 현재 HD 콘텐츠를 UHD(초고화질) 또는 VR로 대거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며 "5G 서비스 개시와 더불어 트래픽 증가가 불가피할 전망이며 통신사 매출은 차세대 미디어를 중심으로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5G 주력 요금제의 월 무료 데이터 제공량은 20GB, 요금은 실납부액 기준 6만 원 이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하나금융투자의 예상이다. 현재 LTE 요금제가 월 4만9천 원대(25% 요금할인 적용)에서 사실상 무제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점을 고려하면 고객의 실질적인 부담은 늘어나는 셈이다.

통신업계는 통신비 인상을 예단하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통신사 관계자는 "아직 요금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 주파수를 할당받고 서비스와 상품을 설계한 뒤에나 계획을 짤 수 있을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 상용화에 맞춰 5G 요금제가 한두 개 나올 수 있겠지만 당장 소비자 요금 체계가 크게 바뀔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통신사들이 통신비 인상에 따른 비판을 피하고자 제휴 콘텐츠의 데이터 사용료를 면제하거나 할인하는 '제로레이팅(Zero Rating)' 확대와 망 중립성 폐지를 모색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망 중립성은 인터넷에서 발생한 데이터 트래픽을 통신사가 대상, 내용, 유형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처리하는 원칙을 말한다.

그동안은 망 중립성에 따라 데이터를 많이 발생시키는 콘텐츠 사업자에게 통신사가 추가 과금을 할 수 없었다. LTE 시대 데이터 증가에 따른 부담은 통신사가 지고, 과실(果實)은 포털 등이 가져간다는 비판이 나온 이유다.

키움증권 장민준 연구원은 "망 중립성이 폐지되면 요금제를 세분화할 수 있고, 트래픽이 높은 콘텐츠 기업에 통신사가 과금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를 통해 통신사는 고객에게 전가될 비용을 줄이고 수익은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