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대졸자 비수도권→수도권 이직하면 임금 최대 10%↑

이직

비수도권에 첫 직장을 얻은 대졸자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 이직하면 직장을 옮긴 효과를 배제하고도 임금이 최대 약 10%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직하면 상승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인력의 '수도권 집중 현상'의 경제적 원인으로 지목된다.

최광성 한양대 응용경제학과 박사과정, 강동우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최충 한양대 경제학부 부교수는 12일 노동경제논집 최근호에 실은 '지역이동이 대졸자의 임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서 이렇게 밝혔다.

이들은 비수도권에서 고학력 인력이 계속 유출되면서 지역발전 잠재력이 약화하고 수도권과의 격차를 넓힌다는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기 위해 임금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2009년 9월과 2010년 2월 졸업한 2·3년제, 4년제 대학 졸업자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 1차 조사와 추적조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직 경험자 4천218명 중 3천688명은 소재지를 옮기지 않았고, 273명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257명은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각각 직장을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 상으로만 평균 월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비수도권 이직자는 첫 직장에서 189만원이었지만 두 번째 직장에서 214만 원으로 25만 원 늘었다.

뉴스

수도권→수도권 이직자는 177만원에서 209만원으로 32만원 올랏으며, 비수도권→비수도권 이직자는 162만원에서 187만원으로 25만원 늘었다. 반면 비수도권→수도권 이직자는 180만 원에서 227만 원으로 47만 원 올랐다. 이 부류가 가장 임금 상승 폭과 절대 금액이 컸다.

수도권→수도권과 수도권→비수도권의 이직 후 월급 상승치 격차는 7만 원뿐이었다. 하지만 비수도권→수도권과 비수도권→비수도권은 22만 원이나 차이가 났다. 다만 이러한 분석은 이직에 따른 임금 상승과 지역이동에 따른 임금 상승을 구분하지 않았기에 정확한 분석은 아니다.

따라서 논문은 이 결과에서 직장이동 임금효과를 제외하고 지역이동에 따른 효과만을 따로 뜯어내 비교했다.

그 결과 비수도권→수도권의 순수한 지역이동 월급 상승효과는 17만∼18만6천 원(연간 204만6천원∼223만7천 원)으로 분석됐다. 첫 직장 월급과 비교하면 9.5∼10.3% 증가한다는 계산이다.

수도권→비수도권 지역이동에 따른 순수 효과는 월급이 7만2천∼6만3천 원 감소하는 것으로 계산됐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는 않았다.

첫 직장이 수도권인 대졸자가 비수도권으로 이동하면 임금 상승효과를 누릴 수 없지만, 비수도권 대졸자가 수도권으로 이동하면 약 10%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는 결론이다.

논문은 "청년층이 첫 직장을 떠나는 주요 이유는 임금수준 등 근무여건 불만족임을 고려할 때 신규 대졸자의 수도권 집중은 지속할 수밖에 없다"며 "지역 인재 유출 완화를 위해서는 비수도권에서 임금수준이 높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임금 격차를 완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