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주택산업연 "서울 등 13곳 공급 부족…30곳은 공급과잉“

전국 17개 시·도와 30개 주요 도시의 아파트 공급 상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을 비롯한 13곳은 살 곳이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47개 지역 중 30곳은 공급과잉이었고, 공급이 적정하게 이뤄지는 곳은 4곳에 불과했다.

주택산업연구원 김태섭 박사는 1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주택시장 현황 분석 및 발전방안 모색' 세미나에서 "최근 주택시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아파트 공급의 지역별 양극화"라며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김 박사는 47개 지역을 대상으로 2020년까지 과거, 현재, 미래의 주택 공급(아파트 중심) 실태 등 공급지표를 분석하고, 해당 지역이 성장지역인지, 회복지역인지, 정체·쇠퇴진입지역인지, 쇠퇴지역인지를 살폈다.

그 결과 서울은 안정적인 성장지역이면서 공급이 부족해 주택시장 불안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의 신규 주택 수요는 연평균 5만5천호이고, 공급량은 연평균 6만4천호로 수급이 원활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아파트 수요는 연평균 4만호인데 공급량은 연평균 3만1천호에 그쳐 최근 6년간(2012∼2017) 약 5만4천호의 누적 부족량을 보였다.

같은 기간 동안 비아파트 공급량은 급증해 2005∼2011년간 연평균 1만6천호에서 2012∼2017년 연평균 4만4천호를 공급했다.

아파트 공급량은 감소한 대신 다세대주택 등 비아파트 공급량이 크게 는 셈이다. 최근 5년간 서울의 신규 아파트 공급기반인 정비사업구역은 354구역이 해제됐다.

김 박사는 "서울시의 전체 아파트 공급량에서 정비사업으로 공급되는 아파트 비중이 약 78%인 것을 고려하면 다른 대안이 없는 한 정비사업구역 해제는 서울의 아파트 공급부족 문제를 계속 발생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산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