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기자의 눈] 더페이스샵 점주 시위에 고소 언급한 LG생활건강

"더페이스샵 점주들 사이에서는 정운호 회장 시절이 더 나았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LG생활건강의 자회사인 '더페이스샵' 가맹점주들이 LG생활건강 본사를 비판하고 나섰다. 이들은 온라인 할인 판매 중단, 적정 마진을 요구하고 있다. 80여명의 가망점주들은 지난 22일 오전, 광화문 LG 사옥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150개 매장 점주들이 참가했다. 시위는 이날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달 25일에도 서울 여의도 소재 LG트윈타워에서 시위를 벌였다.

지난 6월에는 LG정도경영팀을 비롯한 임원진에게 내용증명을 보내 더페이스샵 운영의 문제점, 진실한 상생 요청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회신은 없었다.

이들은 온라인 저가 판매가 가장 문제라고 보고 있다. 본사가 온라인을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화장품을 판매하니, 오프라인 매장 매출이 점점 줄고 있다고 보고 있다. 매장에서 정상가 1만원짜리를 상품을 50% 할인해 5000원에 팔면, 인터넷에서는 3000원에 팔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시종필 더페이스샵 가맹점협의회장은 "LG생활건강이 더페이스샵 점주들의 숨통을 서서히 조이는 정책을 쓰고 있다"고 비판한다.

더페이스샵은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이사가 만든 브랜드다. 지난, 2009년 LG생활건강이 4200억원에 인수했다. 그러나, 인수 후 더페이스샵 상황은 갈수록 악화됐다고 한다. 온라인 판매도 더 많아졌고 상권은 보호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1차 집회 뒤 한달도 채 안 돼 폐점한 데만 8군데가 넘는다고 이들은 전하고 있다. 여러개 매장을 운영하던 점주들은 이미 적어도 1개 매장은 폐점한 상태라고 했다.

문을 닫고 싶어도 인테리어 보조를 받은 것 때문에 그러지도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한다. 1개 매장을 내는데만 2억원이 들어간다고 한다.

실제, 한 때 화장품 브랜드숍 1위를 했던 더페이스샵은 LG생활건강 내에서 실적이 좋지 않다. 영업이익이 계속해 줄어들고 있다. 2015년 597억원, 2016년 451억원이었다. 작년에는 158억원까지 떨어졌다. 매출은 2015년 6290억원, 2016년 6498억원, 작년에는 5673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 2015년 181억원, 2016년 243억원에서, 작년 5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사업 시작 이후 첫 적자 전환이었다.

브랜드 간 경쟁이 심화된 상황이다.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의 작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420억원, 1079억원이었다. 영업이익에서 이니스프리가 더페이스샵에 7배 가량 앞서 있다.

해당 시위에 대해 LG생활건강은 "전체 중 18명의 가맹점주 주도로 근거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며 "더페이스샵은 전체 가맹점주 476명 중 107명의 가맹점주로 구성된 회장 김학영의 가맹점협의체와 지난 5월부터 월 1회 정기적으로 소통해왔다"고 이 일에 대해 해명했다.

이어 "이외 36명의 점주들이 지난 7월, 별도 모임을 구성해 이들 중 18명의 가맹점주가 지난 8월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상품 공급 거절 행위, 점포 변경 강요 행위, 할인 행사 강요 행위'를 사유로 조정 신청했다. 이들 가맹점주에게 손해배상액 9억원을 지급해달라는 요구조차 객관적인 근거가 없는 터무니없는 것이어서 조정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LG생활건강은 집회 참가 해당 점주들에게 명예훼손으로 고소할 것이라고 했다. 브랜드와 대다수 가맹점 이익을 해치거나 법인과 개인의 명예훼손 등 위법 행위에 대해서는 필요한 법적 조치도 취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더페이스샵 점주들은 그들의 요구에 본부가 반응하지 않는다면 내년 초, 다시 3차 집회를 연다는 계획이다.

이런 일들이 항상 그렇듯, 양측간 입장은 다르다. 또한 LG생활건강의 언급처럼 해당 시위자들은 별도 모임을 구성한 이들로 보인다. 그러나, 매장을 운영하며 받고 있는 고통이 분명 있는 상황이다. 이들에 대한 LG생활건강의 대처에서 '고소'를 언급한 것은 올바른 대응인지에 대해서는 의문감이 들 수 밖에 없다. 본사 입장에서는 점주들의 입장을 헤아리는 방향으로 처신했어야 옳아 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