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빈곤층가구 근로소득 37% 급감…1분위 무직 비율 55.7%↑

지난해 4분기 빈곤층 가구소득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최저임금 인상에도 임시직 등 취약계층 일자리 수가 줄어들면서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가구소득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음식점업 등 영세 자영업 부진으로 2분위 자영업 가구주 비중은 하락한 반면 1분위 자영업 비중은 상승하는 모습도 관측됐다.

▲고용 부진 저소득 가구에 직격탄…무직가구 비중 늘어=1분위 가구소득 감소에는 36.8%나 줄어든 근로소득이 주된 원인이다. 1분위 가구 근로소득(43만1천원)은 전체 소득의 35%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를 보면 지난해 4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소득은 123만8천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7.7% 감소했다.

최저임금 상승에도 지난해 임시·일용직 등 취약계층 일자리 중심으로 고용 부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1분위 가구의 취업가구원 수는 2017년 4분기 0.81명에서 지난해 4분기 0.64명으로 20% 넘게 줄었다. 1분위 가구주 무직 가구 비율도 43.6%에서 55.7%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사업소득 감소, 자영업 가구주 2분위→1분위 이동…"자영업 부진 영향"=2분위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은 제자리걸음(0.4%) 했지만, 사업소득(-18.7%)이 줄면서 전체 소득을 4.8% 끌어내렸다. 음식·주점업 등 자영업 부진 영향이다.

실제로 2분위 가구주의 자영업 비중은 2017년 4분기 24.4%에서 지난해 4분기 19.3%로 약 5%포인트나 줄었다.

1분위 가구주 자영업자 비중은 13.1%에서 15.9%로 증가했다. 2분위에 있던 자영업자가 소득 상황이 악화하면서 1분위로 내려앉은 것이라는 분석이다.

3분위와 4분위 가구소득은 각각 1.8%, 4.8% 늘어나 전분기(2.1%·5.8%)보다 증가 폭이 둔화했다. 반면 5분위 가구소득은 10.4% 늘면서 전분기(8.8%)보다 증가 폭을 키웠다.

지난해 고용 부진에도 상용직 일자리 수는 증가세가 계속됐고 사업체 내에서 임금이 오른 점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사회수혜금 49.6%↑…고소득가구는 공적연금 늘며 증가=지난해 9월부터 지급이 시작된 아동수당은 주로 자녀가구원 비중이 높은 3분위 가구소득을 늘리는데 효과를 낸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아동수당·기초연금 등이 포함된 사회수혜금은 지난해 4분기 평균 8만3천700원으로 1년 전보다 49.6% 늘었다.

분위별로 보면 1분위가 9만6천6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사회수혜금은 소득이 높을수록 줄어들어 5분위 가구는 1분위의 절반 수준인 4만3천700원으로 집계됐다.

증가율을 보면 5분위 가구가 140.9%로 가장 컸고 4분위(55.6%), 2분위(43.5%), 1분위(42.2%) 등 순이었다. 저소득 가구의 절대 금액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증가 폭은 고소득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사회수혜금을 포함한 공적 이전소득 평균은 35만2천600원이었다.

1분위 가구는 44만2천600원으로 1년 전보다 17.1% 증가했고 5분위는 52.7% 증가한 30만3천900원이었다. 고소득가구의 공적 이전소득에서는 주로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24만200원) 비중이 컸다.

취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