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韓·중국 기업들, 美 압박 커지자 이란서 발 뺀다

미국의 대이란 압박이 거세지자 아시아 기업들이 이란에서 점차 발을 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서방 외교관들을 인용해 이란과 거래를 재고하는 아시아 기업 중에는 은행과 석유업체들뿐 아니라 화웨이, 레노버, LG전자, 삼성전자 등 기술 거대기업들도 있다고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란에서 중국 석유회사에 자문역을 하는 한 소식통은 이란과 중국 기업 간 거래 상당수가 "이미 실패한 계획"이라며 "아무도 폐업 위험의 부담을 지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런 움직임은 미국 정부의 대이란 압박이 갈수록 거세진 데 따른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이란 핵 합의 탈퇴를 선언하고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복원했으며, 이에 앞서 유럽 기업들이 이란에서 철수하기 시작하자 이란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에 희망을 걸고 있었다.

중국은 서방 국가들의 핵 합의 이전부터 이미 유럽을 앞질러 이란의 산업 장비 최대 공급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미국이 중국과 인도, 한국 등 주요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이란산 원유 제재 예외를 연장하지 않고 에너지 산업을 비롯해 이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란 정예군 혁명수비대를 테러조직으로 지정하는 등 압박을 강화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테헤란 업계 관계자들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이미 이란과의 거래를 줄여 왔으며 미국의 제재 예외 종료 이후 이란에서 완전히 철수해야 할지 한국 정부 관리들과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란은 원유 판매에서 얻은 자금을 이들 기업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는 재원으로 활용해왔다.

이란산 원유 최대 수입국인 중국은 상당량 수입을 계속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많은 중국 기업이 이란과의 거래를 줄이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의 대이란 수출은 6억2천900만달러로 2014년∼2018년 초의 월평균 16억달러보다 크게 줄었다. 여기에 최근 몇 주간에는 원유 수입이 감소할 것이란 전망까지 가세해 중국의 대이란 사업 축소가 빨라졌다.

국가안보 위협 의혹으로 미국의 압박을 받는 중국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는 지난달 이란에서 직원 250명 중 대부분을 해고했다고 현지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레노버는 두바이에 있는 자사 판매자들에게 이란 판매를 금지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