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콘텐츠산업 주력 산업으로 육성...2022년까지 정책금융 1조원 확대

콘텐츠산업을 혁신성장시대의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2022년까지조원 이상의 투·융자 정책금융을 추가로 공급한다. 5세대(5G) 이동통신 킬러콘텐츠인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실감콘텐츠에 대한 과감하고 선도적인 투자로 초기 시장을 개척한다는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서울 홍릉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대한민국 콘텐츠, 빛이 되다' 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을 공개했다.

정부는 이 같은 전략을 통해 2022년까지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 150조원, 수출액 134억달러를 달성하고 70만명의 고용을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한류에 따른 직접적인 소비재 수출을 50억달러, 한류 관광객은 180만명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지난해 119조원, 수출액은 95억5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정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콘텐츠산업 중장기 종합계획인 '콘텐츠산업 경쟁력 강화 핵심전략'을 더욱 구체화한 것이다.

정부는 콘텐츠 업계의 가장 시급한 해결 과제인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대규모 정책금융을 추가로 공급하기로 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신용·기술보증기금 등을 통해 콘텐츠 분야에 공급하는 정책금융은 1조7천억원 규모다. 그러나 콘텐츠산업 현장에선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큰 기획개발 단계나 소외 분야는 투자받기가 어렵다며 개선을 주문해왔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기획개발·제작초기 단계, 소외 분야 등 기존에는 투자가 어려웠던 콘텐츠도 가능성만 있다면 투자할 수 있는 '콘텐츠 모험투자펀드'를 조성해 2022년까지 4천500억원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콘텐츠기업이 안정적으로 운영자금을 조달하도록 신용보증기금의 '콘텐츠 특화 기업보증'도 확대한다. 콘텐츠 기업들은 물적 담보가 부족해 대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콘텐츠 특화 기업보증'을 확대해 2022년까지 추가로 1천억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아울러 콘텐츠 완성 후 판매대금으로 대출금을 갚는 콘텐츠 완성보증을 2022년까지 2천200억원 추가로 공급하고, 신·기보의 일반 기업보증도 4천200억원 추가 공급한다.

이에 따라 2022년까지 투자 4천500억원, 보증 7천400억원 등 총 1조원 이상의 정책금융이 콘텐츠 산업에 추가로 공급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 제작이 활성화되고 운영자금이 원활하게 공급되면, 기업 성장이 용이해져 매출액 100억원 이상의 콘텐츠기업 수가 현재 1천700여개에서 2천개 수준으로 늘 것으로 기대한다.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