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아모레퍼시픽 ​서경배과학재단, 신진과학자 선정

아모레퍼시픽이 ​서경배과학재단이 2019년 신진과학자를 선정했다.

​생명과학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활동을 개척하는 한국인 신진 과학자 4명이 최종 선정됐다.

아모레퍼시픽은 ​18일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증서 수여식을 진행했다고 19일 전했다.

2017년과 2018년 신진 과학자를 5명씩 선발했으며 올 해 선정된 4명까지 총 14명의 과학자들에게 5년 동안 최대 2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1월 시작된 올 해 연구과제 공모에는 임용 5년 미만의 신진 과학자들로부터 총 83건의 연구 제안서가 접수됐다.

국내외 석학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이 가운데 30개 제안서를 서면 심사하고 11개 제안서를 발표 평가 대상으로 추렸다. 이후, 발표 등 최종 심사를 통해 적응 면역, 신경 후성 전사체 연구, 세포 특이적 운명 결정과 세포벽의 역할, RNA 이동성 유전인자 연구를 제안한 4명을 최종 선정했다.

박주홍(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의 연구는 숙주-세균 공생관계를 세균의 진화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역동적인 관계로 바라 본 연구로, 효과적인 유익균을 이용한 질병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받았다.

윤기준(KAIST 생명과학과) 교수의 연구는 후성 전사체에 일어나는 다양한 변이가 특정한 뇌 발달 단계와 뇌 기능에 작용하는 기초 기전을 밝혀내고자 하는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로 평가받았다.

이유리(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는 기존의 국한된 시각으로 바라보던 세포벽이 다이나믹한 유기체로써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생명 현상의 근본 질문에 답을 제시할 혁신적인 주제를 제안했다고 전했다.

이은정(Boston Children's Hospital & Harvard Medical School) 교수는 인간 유전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RNA 이동성 유전인자의 중요성과 기능을 재조명하고 자가면역 등의 난치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을 규명하는 선도적인 연구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서경배 이사장은 증서 수여에 앞서 "천외유천(天外有天)의 말뜻을 새기며 서경배과학재단의 발걸음이 창의적이고 유용한 과학이라는 높은 목표를 향해 정진하는 연구자들의 발자취와 함께 하기를 기원한다"며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지만 황금이 불을 통해 단련되듯, 후에 큰 연구 성과와 영광이 있기를 기원하는 석과불식(碩果不食)의 마음으로 신진 과학자들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재단은 2016년 ㈜아모레퍼시픽그룹 서 회장이 기부한 3000억원 규모의 출연금으로 설립됐다. '혁신적 과학자의 위대한 발견을 지원해 인류에 공헌한다'라는 미션을 갖고 있다. 창의적인 기초 과학자를 육성하고 생명과학의 발전을 도모해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신진과학자로 선정된 연구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가 최근 국내외 과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했다.

주영석 교수(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2018년 선정)는 비흡연자들에게서 폐암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인 융합유전자 유전체 돌연변이의 생성 원리를 규명해 그 내용을 국제 학술지 '셀(Cell)'에 실었다.

김진홍 교수(서울대 생명과학부, 2018년 선정)는 노화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가 연골세포 노화를 촉진하고 연골기질을 파괴하는 마이크로RNA(miRNA) 발현을 증가시켜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담았다.

임정훈 교수(UNIST, 2017년 선정)는 동물성 단백질에 포함 돼 있는 필수 아미노산 가운데 하나인 트레오닌(threonine)의 수면 유도 현상과 신경 생물학적 작용 원리를 밝혀내, 생명과학·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게재했다.

이정호 교수(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2017년 선정)는 동료 교수들과 난치성 뇌전증의 원인 돌연변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법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악타 뉴로패쏠로지카 (Acta Neuropathologica)' 온라인에 소개되기도 했다.

재단은 앞으로도 운영 원칙인 과학자 중심의 연구 지원을 고민하고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초 생명과학 분야의 창의적인 연구들을 꾸준히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연구자 중심을 지향하는 서경배과학재단 소사이어티(SUHF Society) 구축에 힘을 쏟고 있는데, 지난 7월 1·2기 과학자들이 모여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한국 과학기술의 성장을 고민한 서경배과학재단 연구자 모임(SUHF Investigator Meeting)도 그 일환이다.


▲왼쪽부터 박주홍 교수, 이유리 교수, 서경배 이사장, 이은정 교수, 윤기준 교수
▲왼쪽부터 박주홍 교수, 이유리 교수, 서경배 이사장, 이은정 교수, 윤기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