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가계사업소득 격차 4년만에 감소

올해 3분기 가계의 소득 격차가 4년 만에 감소했다.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소득이 7분기 만에 최대폭 늘며 2분기 연속 증가한 데 비해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의 소득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자영 업황이 악화하면서 전체 가구의 소득 가운데 사업소득은 2003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

통계청은 21일 이런 내용의 2019년 3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3분기 전국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87만6천9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7% 늘었다. 3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37배로 1년 전(5.52배)보다 0.15배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3분기 기준으로 2015년 3분기(-0.27배p) 이후 4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3분기 기준 5분위 배율은 2015년(4.46배)를 저점으로 2016년(4.81배), 2017년(5.18배), 2018년(5.52배) 등으로 3년 연속 악화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 가구의 평균소득을 1분위 가구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며, 가구별 가구원 수를 고려해 계산한다.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 정부 정책으로 인한 소득 개선 효과는 3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로 나타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3분기 전국 가구(2인 이상)의 소득을 소득유형별로 살펴보면 사업소득 감소가 두드러진다.

사업소득이 월평균 87만9천8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9% 줄어들어 4분기 연속 감소했다. 감소폭은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다.

반면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평균 336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4.8% 늘었다.

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소비가 둔화하고 건설·설비투자 등 전반적 내수여건이 어려운 탓에 자영 업황이 부진해 3분기 가계의 사업소득이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면서 "전반적으로 자영업자가 아래 분위로 이동하거나 무직 가구로 전환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공적이전소득(39만9천600원)을 포함한 이전소득(60만300원)은 8.6% 증가한 반면 재산소득(2만100원)과 비경상소득(1만5천700원)은 각각 2.5%, 63.4% 감소했다. 비경상소득은 경조 소득이나 퇴직수당과 실비보험을 탄 금액 등을 말한다.

자영 업황 악화로 사업소득이 12.6% 줄어 2003년 통계 집계 시작 이후 최대폭 줄어들면서 전체소득 증가세가 둔화하는 원인이 됐다.

소득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