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주요은행 5월 연체율 일제히 상승…”은행 건전성 관리해야“

주요 시중은행들의 5월 연체율이 전달보다 일제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 폭이 크지는 않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코로나19의 영향은 하반기부터 본격화할 전망이다.

10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5월말 대출 연체율은 4월 말에 비해 0.02%포인트(p)씩 상승했다.

4월 말 기준 0.21∼0.33%였던 연체율은 한 달 후 0.23∼0.35%로 집계됐다. 3월에 일시적으로 하락한 이후 두 달 연속 상승했다.

통상 은행들은 3, 6, 9, 12월에 정기적으로 부실 채권을 매각하기 때문에 연체율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를 제외하고 보면 큰 틀에서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이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0.16∼0.32%에서 0.17∼0.33%로 각각 0∼0.02%p 올랐다. 기업대출의 연체율은 0.22∼0.38%에서 0.24∼0.41%로 은행별로 0.02∼0.05%p 상승했다.

휴업

부문별 차이가 크지는 않았지만 중소법인(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중소기업) 연체율 증가 폭이 두드러진다.

시중 1·2위 은행의 5월 중소법인 연체율을 보면 A은행은 4월 0.39%에서 0.43%로, B은행은 0.67%에서 0.72%로 각각 0.04%p, 0.05%p 올랐다.

중소기업은 자산 매각, 회사채 발행 등으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기 쉬운 대기업에 비해 위기에 대처하기 어렵다. 정부 지원이 집중된 소상공인에 비하면 대출 규모는 큰데 당장 방법을 찾기 쉽지 않았을 것이란 분석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정부의 코로나19 자금지원 대책이 대기업, 소상공인에 집중되면서 중소기업은 소외된 측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체율은 경기 후행지표인 만큼 코로나19 영향을 재단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실물경제가 위축되고, 실업과 자영업자 폐업이 증가한다면 여신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 주도의 대출 만기연장·상환 유예 지원이 끝나고 나면 가려져 있던 부실이 드러날 수 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발생 직후 은행 대출자산이 급격하게 늘면서 신용 리스크를 안았기 때문에 연체율 증가는 하반기부터 서서히 나타날 것"이라며 "어느 때보다 은행의 건전성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