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지난해 토지자산, GDP의 4.6배 ‘역대 최대’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내 토지 자산의 배율이 4.6배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토지 자산 가운데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는 집값 상승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토지자산 GDP 대비 4.6배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통계를 보면 국가 전체의 부(富)라고 할 수 있는 국민순자산은 작년 말 1경6천622조원으로, 1년 전보다 1천58조원(6.8%) 증가했다.

비금융자산(순자산의 96.5%)이 1경6천42조원이었고, 금융자산(1경7천213조원)에서 금융부채(1경6천633조원)를 뺀 순금융자산(순자산의 3.5%)은 580조원이었다.

GDP 대비 국민순자산 비율은 8.7배로, 1년 전(8.2배)보다 올랐다. 이는 지난해 순대외금융자산이 늘어난 데다 토지 자산을 중심으로 비생산자산이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작년 토지와 건물 자산은 각각 6.6%, 6.8% 늘었다. 비금융자산에서 토지와 건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54.7%, 21.4%로 1년 사이 나란히 0.1%포인트씩 올랐다.

2019년 말 토지 자산의 GDP 대비 배율은 4.6배로, 1995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다.

지난해 토지 자산의 GDP 대비 배율은 2018년(4.3배)보다 올랐다. 지난해 GDP(명목기준)가 1.1% 늘어났는데, 토지 자산은 6.6%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토지 가운데서도 건물 부속 토지의 자산 증가율은 7.3%에 달했다.

토지 자산의 수도권 비중은 2010년 61.7%에서 2017년 56.6%까지 낮아졌으나 2018년 56.9%로 다시 증가했다.

2011년 이후 비수도권 지역의 토지 자산 증가율이 수도권보다 높았다가 7년 만에 역전한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수도권 비중의 증가는 결국 집값 상승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식재산생산물 자산은 522조9천억원으로 8.3% 증가했다. 비금융자산에서 지식재산생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연구개발(R&D) 투자가 계속 확대됨에 따라 계속 커지는 추세다.

토지

▲가구당 순자산 4억6천286만원…순자산 75%가 부동산

전체 가계 자산을 가늠할 수 있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9천307조원이었다. 전체 국민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0%로 한 해 전과 같았다.

주택자산은 증가 폭이 줄었으나 금융기관 예치금 증가 등으로 금융자산의 증가 폭이 커졌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주택 50.8%, 주택 외 부동산 25.2%, 순금융자산 22.6% 등으로 구성됐다. 부동산이 전체의 4분의 3을 차지한 셈이다.

작년 말 가구당 순자산은 4억6천268만원(추계 가구 2천11만6천호 기준)으로 한은과 통계청은 추산했다. 1년 전(4억3천838만원)보다 5.5% 증가한 수치다.

순자산

구매력평가지수(PPP) 환율 기준으로 따지면 53만8천달러로, 2018년도 기준 미국(86만3천달러), 호주(74만2천달러) 캐나다(59만9천달러)보다는 적었으나 프랑스(52만1천달러), 일본(48만6천달러)보다는 많았다.

고정자산이 일정 기간 생산과정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양을 의미하는 자본서비스물량은 2017년 이후 2년째 하락해 지난해 3.4%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설비투자 쪽에서 투자가 줄어들면서 부진한 영향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