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코로나19에 청년 일자리 ‘뚝’…9월에 50만개 증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청년층 일자리 충격이 가장 컸다는 분석이 나왔다. 21일 연합뉴스가 통계청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첫 확산 여파가 강했던 4월에 42만개, 재확산 여파가 덮친 9월에 50만개의 청년 일자리가 사라졌다

▲15∼29세·30대 청년층 일자리, 중장년층보다 많이 줄었다.

지난 3월부터 코로나19 여파로 전체 취업자 수가 줄기 시작해 4월에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이후 감소세가 조금씩 줄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9월에 40만 명 가까이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3월(-19만5천명),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 6월(-35만2천명), 7월(-27만7천명), 8월(-27만4천명), 9월(-39만2천명) 등 7개월 연속 감소했다.

4월과 9월 모두 15∼29세와 30대 취업자 감소 폭이 특히 컸다.

4월 15∼29세 취업자는 24만5천명 감소했고 30대 취업자는 17만2천명 줄었다. 합치면 청년층 취업자 41만7천명이 감소한 것이다.

40대(-19만명)와 50대(-14만3천명) 취업자도 상당수 줄었으나 40대와 50대를 합친 중장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33만3천명으로, 청년층보다는 적었다. 정부 재정일자리 정책으로 60세 이상은 취업자가 오히려 27만4천명 늘었다.

▲9월 청년층(15~30대) 취업자 50만 명 감소

9월 15∼29세 취업자는 21만8천명 줄었고 30대 취업자는 28만4천명 감소했다. 합치면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50만2천명이다.

40대(-17만6천명)와 50대(-13만3천명)를 합친 중장년층 취업자 감소 폭 30만9천명을 웃도는 수치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41만9천명 늘었다.

채용

▲청년층 상용직· '풀타임 취업자' 줄었다

임시적·일용직보다 안정적인 상용직으로 취업한 청년층도 줄고, 상용직 중에서도 '풀타임 취업자'는 더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9월 15∼29세 상용직 취업자는 232만6천명으로 한 해 전보다 5만3천명 감소했고 30대 상용직 취업자는 374만2천명으로 20만2천명 줄었다.

15∼29세·30대 청년층 상용직 취업자가 25만5천명 감소한 것이다.

15∼29세에서 주당 36시간 이상 일하는 풀타임 취업자는 212만6천명으로 9만1천명 줄었지만 파트타임 등 35시간 이하로 근로한 이(20만명)는 오히려 3만7천명 늘었다.

30대에서도 주당 35시간 이하로 일한 상용직은 38만8천명으로 1만8천명 늘었으나 36시간 이상 근로한 이는 335만6천명으로 21만9천명 줄었다.

반면, 청년층과 달리 고령층에서는 상용직 취업자 수가 많이 늘었다. 60대 이상 상용직 취업자는 지난달 124만9천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만5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과장은 "청년층 상용직 취업자는 제조업, 교육서비스업, 보건복지 관련 업종이 일자리를 크게 늘리지 않은 탓에 감소했다"고 말했다.

▲숙박음식점업 줄어든 취업자 22.5만명, 62.1%가 청년층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코로나19가 확산하면 숙박·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등 대면서비스 업종이 특히 타격을 받는데 해당 업종들에 청년층이 주로 종사하기 때문에 청년층 취업자 감소가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9월 취업자 감소 폭이 큰 업종은 숙박·음식점업(-9.8%), 교육서비스업(-7.9%), 도·소매업(-5.7%) 등이다.

숙박·음식점업은 9월 취업자가 1년 전보다 22만5천명 줄었는데, 이 중 62.1%(14만명)가 15∼29세와 30대였다.

교육서비스업은 줄어든 취업자 15만1천명 중 15∼29세·30대가 84.5%(12만7천명)에 달했다.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분 20만7천명 중 15∼29세·30대는 23.4%(4만8천명)이었다.

세 업종을 합치면 줄어든 취업자 58만3천명 중 청년층은 54.1%(31만6천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