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외인·외국인 투자기업 투자 줄었다…“경제외교 시급”

2017년 이후 외국인 투자기업의 우리 경제 기여도가 하락하고 있으며, 외국인의 직접 투자 역시 감소세를 기록 중이다. 이는 법인세 감면조치 폐지,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코로나19로 인한 투자수요 위축 등으로 외국인 투자기업의 투자심리가 악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최근 집단소송제, 징벌적 손해배상 확대 도입 등 기업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점도 투자 위축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글로벌 기업들의 국내 투자 유치를 위해 국내 투자환경을 개선할 뿐 아니라 경제외교에 힘써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2020년 외국인 투자주간을 앞두고 산업부 외국인 직접투자통계, 산업부․KOTRA 외국인투자기업 경영실태조사, 국세청 국세통계 등을 기초로 2011년 이후 외국인 직접투자(FDI)의 트렌드 변화와 주한 외국인 투자기업*의 한국 경제기여도 변화를 분석해 8일 발표했다.

여기서 외국인 투자기업은 외국법인 혹은 자본금 대비 외국인자본금 비율이 10%를 넘는 외국인투자법인을 의미한다.

도시

▲외투기업 경제기여도, 2017년부터 하락 추세

외국인 투자기업의 한국경제 기여도는 최대 외투기업인 한국지엠의 급속한 실적 악화 이후 2017년부터 추세 하락 중에 있다. 외국인 투자 기업은 2011년 기준 국내 매출의 약 15%, 수출의 약 20%, 고용의 약 6%, 법인세의 약 20%를 차지했다.

전체 수출에서 외투기업의 비중은 2013년 20.2%로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계속 낮아져 금년 1~7월 17.9%로 2013년 대비 2.3%p 하락하였다. 고용 비중은 2011년 6.2%에서 2019년 5.5%로 0.7% 포인트 낮아졌다.

국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2011년 14.7%에서 2019년 12.0%로 2.7%P 줄었다. 법인세 비중은 2011년 20.2%에서 2018년 14.4%로 5.8%p 떨어졌다.

2018년까지 증가세를 이어오던 신고기준 외국인 직접투자도 지난해 전년과 비교해 13.3% 감소한 233억3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9월까지 누계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7% 감소한 128억5천만 달러를 기록 중이다.

투자

▲미국·중국계 외투기업 경제기여도 상승, 일본계 기업은 하락

이런 가운데 미국계 기업과 중국계 기업의 한국경제 기여도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

2019년 미국계 기업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2011년과 비교해 188.5% 늘었다. 특히 첨단 반도체 장비 연구개발센터 구축(1.4억 달러), 항암제 개발(1.6억 달러) 등 R&D·하이테크 신산업 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계 기업의 2018년 외국인직접투자는 2011년 대비 321.4% 급증했다. 2018년 기준 중국계 기업의 외국인 법인 수도 2011년 대비 51% 늘었다.

반면, 일본계 외투기업의 기여도는 2013년부터 눈에 띄게 늘었다. 일본계 기업의 2019년 기준 외국인 직접투자는 2012년 대비 68.5% 급감했다. 2018년 기준 일본계 외투 법인 수는 2013년 대비 11.1% 감소하였다.

▲“K바이오의약, 그린뉴딜 관련 R&D 등에 외투 유치 위해 경제외교에 힘써야“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19로 지연된 외국인투자 프로젝트가 실행되면서 올해 3분기 외국인 직접투자가 역대 3분기 기준으로 최대 실적인 52.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면서, “정부가 올해 8월 외국인투자촉진법을 개정하여 외투기업의 미처분이익잉여금 재투자를 외국인 직접투자로 인정한데 이어, 9월에는 첨단산업분야 외국인투자 현금지원을 확대하는 등 외국인 투자환경을 대폭 개선하고 있는 점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봉만 실장은 “최근 외투기업의 우리 경제 기여도가 하락하고 외국인직접투자 역시 감소 추세에 있는 만큼, 올해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증가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국내 투자 환경 개선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코로나19 이후 바이오의약 및 그린뉴딜 관련 글로벌 기업들이 글로벌가치사슬(GVC) 재편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이들 기업이 한국을 최종 비즈니스 허브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정책당국에서 대면 IR 활동 재개 등 총력 경제외교를 전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