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줄어드는 한국인…3분기 출생아 수·출산율 ‘역대 최소’

올해 3분기 출생아 수가 7만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출생아 수는 6만9천105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4천578명(6.2%)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래 최소 기록으로, 분기별 출생아 수가 6만명대로 후퇴한 것은 3분기 기준으로 처음이다.

▲3분기 출생아 수 6만9천명

올해 들어 지난 3분기까지 누적 출생아 수는 21만1천768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8.8% 줄었다.

통상 출산이 연초에 집중되고 연말에 줄어드는 경향을 고려하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는 30만명을 밑돌 가능성도 있다.

우리나라 연간 출생아 수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 40만명대를 유지하다가 2017년 30만명대로 떨어졌는데, 올해 다시 20만명대 진입을 코앞에 둔 상황이다.

출생아

▲3분기 출산율 0.84명 ‘역대 최소’

출생아 수 감소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는 것이다.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3분기 0.84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0.05명 줄면서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올해 1분기 0.90명, 2분기 0.84명으로 줄곧 1.0명을 하회하고 있다. 이는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대로라면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도 2018년(0.98명), 2019년(0.92명) 이후 3년 연속으로 1.0명을 밑돌 가능성이 크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올해 3분기까지 합계출산율이 계속해서 전년 대비 하락해온 만큼 올해 출산율은 작년보다 낮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3분기(7∼9월) 출생아 수가 7만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역대 최소 기록을 새로 썼다.

출산율 역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올해 연간 출생아 수는 20만명대로 추락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인구 올해 1만4천명 줄어…11개월째 자연 감소

9월 출생아는 2만3천566명으로 1년 전보다 524명(2.2%) 감소했다. 월별 출생아 수는 지난 2015년 12월부터 58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인구 1천명당 연간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5.6명이었다.

반면 9월 사망자 수는 2만4천361명으로 1년 전보다 791명(3.4%) 늘었다.

이처럼 출생아 수는 줄고 사망자 수는 늘면서 인구 자연 증가분(출생-사망)은 지난해 11월부터 11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9월 인구는 795명 자연 감소했으며, 올해 1~9월 기준으로는 1만4천241명에 달했다.

이대로라면 올해 연간 기준으로 사상 첫 인구 자연 감소가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이다.

▲3분기 혼인 건수 11% 감소

한편, 코로나19 영향으로 결혼이 줄어드는 현상도 계속되고 있다.

3분기 혼인 건수는 4만7천437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5천875건(11.0%) 감소하면서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최소 수치를 나타냈다.

전년 동기 대비 감소 폭은 지난해 3분기 -0.9%에서 올해 -11.0%로 크게 확대됐다.

김 과장은 "주로 혼인하는 연령층인 30대 인구 자체가 감소하는 추세에 더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결혼식이 연기된 경우가 많다 보니 감소 폭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9월 한 달간 혼인 건수는 1만5천324건으로 1년 전보다 474건(3.0%) 줄었다. 반면 9월 이혼 건수는 9천536건으로 1년 전보다 526건(5.8%)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