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지난해 경기 악화에 사업소득 감소…공적이전소득 역대 최대

지난해 경기 악화로 자영업자의 사업소득이 줄어들고, 근로소득도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저소득층의 가구소득이 크게 늘었지만, 이는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지원하는 '공적이전소득'이 2012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로 늘어난 영향이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1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공적이전소득 효과에 하위 20% 가구 소득, 평균보다 증가

지난해 가구의 평균소득은 5천924만원으로, 1년 전보다 1.7% 증가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은 3천791만원으로 0.3% 늘었으나, 사업소득은 1천151만원으로 2.2% 감소했다.

근로소득 비중은 64.0%로 전년보다 0.9%포인트 줄었고, 사업소득 비중은 19.4%로 0.8%포인트 감소했다.

가구소득을 분포별로 보면 1천만∼3천만원 미만 구간에 24.7%로 가장 많이 몰려 있었다. 그 다음이 3천만∼5천만원 미만(20.9%)이었다.

소득은 최저층인 1분위부터 최고층인 5분위까지 전반적으로 늘었다. 이는 기초연금 인상, 근로자녀장려금·양육수당 확대 등 각종 정부 지원이 늘어난 영향이다.

특히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소득(1천155만원)이 전년보다 4.6% 늘어 평균 증가율(1.7%)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소득(1억3천903만원)은 1.1% 증가해 평균 증가율을 밑돌았다. 소득 5분위 가구의 소득점유율은 전년보다 0.3%포인트 줄어든 46.9%였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연령별로는 30대 이하(4.7%)의 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종사상지위별로는 임시·일용근로자(3.9%), 상용근로자(3.1%)의 소득 증가율이 높은 반면, 자영업자 가구는 2.3% 증가에 그쳤다.

가구주의 연령대별 평균 소득은 40대 7천648만원, 50대 7천549만원, 30대 이하 5천935만원, 60대 이상 3천989만원이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 가구 7천958만원, 자영업자 가구 6천519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 3천704만원 순이었다.

소득 5분위별 소득 구성비를 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가장 큰 비중(42.8%)을 차지했다. 소득 2분위 이상에서는 근로소득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작년 2천만원이하 주택임대소득도 과세…5월 신고해야

▲소득 1분위 가구, 공적이전소득은 늘고 근로소득은 감소

소득 1분위 가구는 전년보다 공적이전소득(13.0%)과 재산소득(8.8%)이 크게 늘었고 근로소득은 5.2% 줄었다.

지난해 가구의 평균 비소비지출은 1천106만원으로 0.7% 늘었다. 특히 공적연금·사회보험료(353만원)가 4.3%나 증가했고, 이자비용(195만원)과 세금(357만원)은 각각 0.8%, 0.7% 늘었다.

가구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천818만원으로 1.9% 늘어났다.

올해 3월말 기준으로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는 81.5%였다. 예상 은퇴연령은 68.1세이지만, 올해 3월말 가구주가 실제 은퇴한 가구(18.5%)의 실제 은퇴 연령은 63.0세로 훨씬 빨랐다.

노후 준비가 잘된 가구는 8.2%에 불과했다. 반면 잘 되어 있지 않은 가구는 38.9%, 전혀 준비가 안 된 가구는 15.9%였다.

▲지니계수 역대 최소…시장소득 격차 커졌지만 정부 지원 효과

지난해 우리나라의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39로 1년 전보다 0.006 낮아졌다.

지니계수는 소득 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0이면 완전 평등, 1이면 완전 불평등을 뜻한다. 0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균등해진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 0.339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다만 시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지난해 0.404로 1년 전보다 0.002 올랐다.

시장소득은 근로·사업·재산소득에 가족, 지인 등으로부터 얻은 사적이전소득을 더하고 사적이전지출을 뺀 소득이다.

처분가능소득은 시장소득에 정부가 지급하는 연금과 수당, 장려금 등 공적이전소득을 더하고 공적이전지출을 뺀 소득이다.

지난해 소득 5분위별 가구 중 1분위(하위 20%)와 2분위(하위 20~40%) 근로소득이 감소하는 등 시장소득 양극화는 심해졌는데, 정부가 주는 공적이전소득이 역대 최대인 18.3% 늘어나면서 처분가능소득 불평등도를 낮췄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