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0일 코로나19 발생현황 (종합)

코로나19 발생현황, 신규 확진자 444명·누적 8만1930명

10일 코로나19 발생현황
▲ 10일 코로나19 발생현황, 자료: 방대본.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오늘(10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의 코로나19 일별 발생현황 집계에 따르면, 신규 확진자 444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수는 8만1930명이 됐다.

현재 격리돼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110명 줄어 8218명, 인공호흡기나 인공심폐장치(에크모·ECMO),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등이 필요한 위중증 환자는 5명 줄어 184명이다. 사망자는 4명 늘어난 1486명, 치명률은 1.81%다.

코로나19 검사자 수는 4만2618명으로, 444명(1.04%)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감염 경로별로 분류하면 지역발생이 414명으로 서울 169명, 경기 157명, 인천 18명 등 수도권에서 344명, 그 외 부산 18명, 광주 14명, 충남 2명, 경북 2명, 대구 14명, 강원 5명, 경남 9명, 충북 2명, 전남 1명, 전북 2명, 세종 1명이다.

해외유입은 30명으로 공항·항만 입국 검역단계에서 6명, 입국 후 지역사회에서 자가격리 중 24명이 확인됐다. 내국인이 16명, 외국인은 14명이다.

☞ 세계 코로나19 발생현황 보기

유입 추정 국가를 보면 네팔 1명, 인도네시아 3명, 인도 2명, 러시아 1명, 싱가포르 1명, 파키스탄 1명, 헝가리 6명, 독일 3명, 미국 8명, 멕시코 1명, 남아프리카공화국 1명, 나이지리아 1명, 에티오피아 1명이다.

국내 코로나19 발생현황을 보면, '3차 대유행'이 진정세를 보이면서 최근 신규 확진자 수가 300명 안팎까지 내려왔지만 곳곳에서 산발적 집단감염이 잇따르며 다시 불안한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당장 수도권에서 병원, 무도장, 식당, 종교시설, 학원 등을 고리로 신규 집단발병이 속속 확인되면서 확진자가 증가세로 반전되는 양상이다.

특히 인구 이동량이 급증하는 설 연휴(2.11∼14)와 맞물려 자칫 코로나19가 비수도권으로까지 번지면서 전국적 재확산 위험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기에 해외발(發)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지역사회 전파 위험도 커지고 있다.

방대본의 코로나19 발생현황 및 추이를 보면, 최근 1주일(2.2∼8)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467명→451명→370명→393명→371명→289명→303명을 기록해 하루 평균 378명꼴로 발생했다.

이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지역 발생 확진자는 일평균 348명까지 떨어져 2단계(전국 300명 초과) 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곳곳에서 신규 집단감염이 발생, 신규 확진자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사례로 경기 지역 코로나19 발생현황을 보면, 부천시의 영생교 승리제단과 오정능력보습학원에서 53명이 무더기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승리제단에서는 신도 등 20명이, 보습학원에서는 학생·강사 등 33명이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종교시설과 학원은 같은 확진자가 다녀가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고양시 일산서구 태평양무도장과 관련해서는 18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서울의 코로나19 발생현황을 보면, 동대문구 소재의 한 병원(2번 사례)에서도 환자·간병인·직원 등 14명이 잇따라 확진됐다.

특히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는 전날 하루에만 26명 늘어 누적 80명으로 불어났다.

신규 변이 감염자 26명 중 22명은 해외유입 사례다.

나머지 4명은 '경남·전남 시리아인 친척 집단발생'과 관련된 사람들로, 이들은 '지역전파' 사례로 보인다. 이들보다 앞서 감염된 시리아인 4명 역시 입국 후 자가격리 중이던 친척으로부터 감염된 경우였다.

특히 경남·전남 시리아인 친척 집단감염 사례와 관련해서는 이들과 직접 접촉한 이력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업무 등으로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는 474명에 대한 선제 검사를 진행한 결과 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만약 이 확진자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다면 이미 변이종이 지역사회에 퍼지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변이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전파 위험성에 대해 "기존 방역 대책을 무력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위기 상황이라고 보고 최대한 유입을 막아야 한다"면서 "일단 지역사회에 퍼지면 손쓸 방법이 없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