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둔화…전셋값 상승률 9개월만에 최저

서울의 아파트값이 6주 연속 상승 폭이 둔화했다. 전셋값 역시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급등세가 진정되는 분위기다.

정부의 2·4 공급대책 영향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공시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 0.23%로 0.01%p 하락

한국부동산원(옛 한국감정원)은 3월 셋째 주(15일 기준)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0.23% 올라 지난주(0.24%)보다 오름폭이 줄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이 0.07%에서 0.06%로 상승 폭이 소폭 둔화됐다. 경기(0.38%→0.37%)와 인천(0.39%→0.36%) 모두 오름폭을 줄였다.

서울은 2·4 대책 발표 직전인 2월 첫째 주 0.10% 올라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뒤 6주 연속(0.09%→0.08%→0.08%→0.07%→0.07%→0.06%) 상승 폭이 지속해서 둔화하는 모습이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 0.28%에서 이번 주 0.27%로 상승 폭이 줄었다.

수도권 전체로 봐도 1월 4주∼2월 2주 0.33%로 올해 최고 상승률을 이어간 뒤 5주 동안(0.30%→0.31%→0.29%→0.28%→0.27%) 상승 폭을 줄고 있다.

다만,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의 상승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아파트

▲서울 재건축 기대감, 경기 GTX 라인 등 교통 호재에 상승세 지속

서울에서는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지역과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중저가 단지 위주로 집값이 상승했다.

양천구가 4주 연속 0.11% 오르며 서울에서 가장 상승률이 높았고, 서초(0.09%), 강남·송파(0.08%) 등 강남3구와 함께 노원구(0.10%), 동작구(0.08%), 마포·관악·도봉구(0.07%) 등이 평균 이상으로 올랐다.

부동산원은 "2·4 대책으로 인한 물량 확대 기대감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감소하고 가격 상승 폭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15일 정부가 발표한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전국 평균 20% 가깝게 급등하면서 매수 심리도 함께 꺾인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는 GTX 라인 등 교통개선 기대감이 있는 지역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GTX 정차 기대감이 있는 의왕시(0.90%)를 비롯해 안산 상록구(0.90%)·단원구(0.82%), 군포시(0.50%) 등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고, 3기 신도시 개발에 따른 정주 여건 개선 기대감에 시흥시가 지난주 0.82%에 이어 이번 주에도 0.81% 올라 높은 상승률을 이어갔다.

인천은 연수구(0.49%)와 서구(0.43%), 부평구(0.42%)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지방은 3주 연속 0.19% 오르며 횡보했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는 0.24% 올라 전주(0.25%)보다 오름폭을 줄였다. 그러나 경기도를 제외한 8개 도는 0.14%에서 0.16%로 상승 폭이 커졌다.

부동산

▲전국 아파트 전셋값 0.15% 상승세…상승폭은 둔화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0.16%에서 이번 주 0.15%로 상승 폭을 줄였다.

서울은 0.06%에서 0.05%로 상승률이 낮아졌다. 작년 6월 첫째 주(0.04%) 이후 9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폭으로 올랐다.

경기(0.18%→0.17%)와 인천(0.25%→0.26%)도 모두 전주 대비 상승 폭을 줄이면서 수도권(0.15%→0.14%) 전체로도 상승 폭이 둔화했다.

서울에서는 노원·성북·성동구(0.09%), 중랑구(0.08%)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지역의 전셋값이 많이 올랐고, 강남(0.01%), 서초·송파구(0.02%) 등 고가 전세가 많은 지역은 매물이 쌓이며 상승 폭이 낮았다.

5대 광역시와 8개 도는 각각 0.21%, 0.14%로 전주와 같은 폭으로 올랐고, 세종시는 나성동의 신규 입주 영향 등으로 지난주 0.24%에서 이번 주 0.12%로 상승 폭이 축소됐다.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세부 자료는 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