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4월 취업자 65.2만명 증가. 기저효과·경기 회복 영향

지난달 취업자 수가 6년 8개월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취업자 수가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고용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에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최근 경기 개선 흐름이 고용 회복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4월 취업자 수 65만2000명 증가…6년8개월 만에 최대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21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65만2000명 늘었다. 증가 폭은 2014년 8월(67만명) 이래 가장 컸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 4월(2703만8000명)과 비교해도 17만6000명 가량 더 많다.

이로써 취업자 수는 2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3월(-19만5000명)부터 올해 2월(-47만3000명)까지 12개월 연속 감소했다. 올해 3월(31만4000명)부터 증가로 돌아섰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국내 생산과 소비 확대, 수출 호조 등 경기회복과 완화된 거리두기가 유지되고 지난해 4월 고용 충격 기저효과가 반영돼 취업자가 2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취업자

▲전 연령대 중 60대 취업자 수 가장 많아…30·40 취업자 수 감소

30·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취업자 수가 늘었다. 특히 60세 이상 취업자 수의 비중이 전체 취업자 수의 약 7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46만9000명), 20대(13만2000명), 50대(11만3000명)는 취업자가 늘었으나 30대(-9만8000명), 40대(-1만2000명)는 줄었다.

정 국장은 "30대에서 취업 진입, 유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30대가 제조업·도소매업에 많이 종사하고 있는데 제조업은 20대를 중심으로 많이 증가했고, 도소매업은 여전히 감소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2만4000명), 건설업(14만1000명), 운수·창고업(10만7000명)에서 취업자가 많이 늘었다.

코로나19로 타격이 컸던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3월 2만8천명 감소에서 4월 6만1천명 증가로 전환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2개월 만에 처음이다.

반면 도·소매업(-18만2000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3만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1만1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31만1000명)와 임시근로자(37만9000명), 일용근로자(3만8000명)가 모두 늘었다.

특히 상용근로자의 경우 최근 4개월 연속 증가폭을 커졌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2만7000명)는 증가했으나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6만5000명)와 무급가족종사자(-3만9000명)는 줄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1년 전보다 108만2000명 급감한 40만3000명을 기록했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0.4%로 전년 동월 대비 1.0%포인트 올랐다. 고용률은 전체 연령층에서 모두 증가했는데, 이는 2018년 1월 이후 처음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2%로, 1년 전보다 1.1%포인트 올랐다.

채용

▲20대 실업률 상승…비경제활동인구 13개월 만에 감소

실업자 수는 114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5000명 줄었다. 실업률은 4.0%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20·30대 실업률은 올랐다. 20대 실업률은 10.0%로 1년 새 0.9%포인트 상승했으며, 30대(3.6%)에서도 실업률이 올랐다.

청년층 실업률 상승은 작년에 연기됐던 9급 공무원 시험이 올해는 정상적으로 4월에 실시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전년 동월 대비 32만4000명 줄어든 1666만7000명이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지난달 13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데 이어 2개월 연속 감소를 이어갔으며, 감소 폭도 2014년 4월(-37만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컸다.

정 국장은 "비경제활동인구가 작년 4월에 크게 증가한 기저효과가 반영됐고, 취업자가 크게 증가한 영향이 있다"면서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고, 특히 청년층에서 감소세가 컸다"고 강조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3만8000명 줄어 237만1000명이었고, 구직단념자는 2만5000명 증가해 63만5000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