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 韓기준금리 인상 압박 커질듯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가 4% 넘게 뛰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 이로 인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받는 금리 인상 압박도 갈수록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물가 상승이 석유·원자재 등의 일시적 공급 부족과 '기저효과(비교 대상 수준이 낮은 데 따른 착시현상)'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경기 회복과 함께 수요 측면에서 억눌렸던 '펜트업(지연·보복) 소비'까지 더해지면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현실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3년 8개월 만에 최고, 생산자물가 5개월째 ↑

통계청이 지난 4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지수(107.39)는 작년 같은 달보다 2.3% 올랐다. 이는 2017년 8월(2.5%)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일 뿐 아니라 2%대 오름폭도 2018년 11월(2.0%)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앞서 한은이 지난달 21일 내놓은 3월 생산자물가지수(106.85)도 2월보다 0.9% 올라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째 상승세를 유지했다.

역시 국제유가 상승 탓에 공산품 물가가 1.6% 올랐는데, 특히 경유(10.8%)·휘발유(12.8%)·나프타(7.0%) 등 석탄·석유 제품 가격이 뛰었다.

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에 보통 약 1개월 이상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만큼 소비자물가도 당분간 계속 오를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정부 등 "공급측 유가, 기저효과 영향…인플레 가능성 작아"

최근 들썩이는 물가의 가장 큰 원인은 국제 유가다. 지난해 1분기 배럴당 30달러대였던 유가는 현재 2배인 60달러대에 이르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유가의 기여도가 0.5%포인트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전년 동기 기준인 만큼 분명히 '기저효과'도 있다. 지난해 1분기(1∼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은 1% 안팎에 머물렀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외식 등 서비스 물가가 전체 물가를 끌어내렸기 때문이다.

정부와 일부 전문가들은 이런 기저효과와 아직 부족한 수요 등을 근거로 2%를 넘어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일시적' 현상으로 보고 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2%를 웃돈 물가상승률의 상당 부분은 기저효과이고, 농축수산물의 상승률에 대한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계속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3분기, 4분기에는 지금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한은의 물가안정목표(2%)를 넘어야 인플레이션인데, 올해도 내년에도 2%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과도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진행될 가능성은 작다"고 덧붙였다.

물가

▲ 한은 등 기관들, 대체로 올해 물가상승률 1% 중후반 예상

실제로 아직 한은과 경제·금융기관들의 올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도 대부분 2%를 넘지 않고 있다.

앞서 지난달 15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와 관련해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대 초반으로 높아졌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 전망(1.3%)을 웃돌아 당분간 2% 내외 수준에서 등락하다 다소 낮아지고, 근원인플레이션율은 점차 1%대로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한은의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3%이지만, 이달말 발표할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1%대 중반 이상까지 높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역시 기저효과가 나타나는 2분기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일시적으로 2%를 넘을 수 있지만 연간 기준으로 물가안정목표인 2%를 상회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연준

▲전문가 "기대인플레·펜트업소비·원자재가격 등 더해지면 인플레이션 고민해야"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위험 요소가 많다고 지적했다. 일단 수치상 물가 상승률이 계속 높게 나오면 우선 경제 주체들의 기대 인플레이션 심리를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물가가 계속 뛰겠구나'라는 예상에 기업은 상품 가격을 덩달아 올리고 소비자도 물가 상승에 대비하거나 적응한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은 국고채 금리 등 시장금리를 끌어올리는 중요한 변수다.

한은 '소비자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4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1%로 이미 2%를 넘어선 상태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한다.

한은은 최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기대가 기업들의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최근 기대심리 상승이 물가에 미칠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금은 수요 측면의 물가 압력이 크지 않다지만, 조만간 코로나19로 억눌린 소비가 터져 나오는 이른바 '펜트업(pent-up)'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많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 감염 우려 등에 소비가 제약되면서 줄어든 민간소비 감소분(2019년 대비)은 약 4%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가 진정되고 보복소비(펜트업 현상)가 일어나 수요측이 견인하는 물가압력까지 더해지면 그때는 (인플레이션 문제를)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도 "백신 접종이 어느 정도 끝나면 수요가 더 늘면서 물가가 더 뛸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제 유가뿐 아니라 재화의 원료가 되는 목재와 구리, 펄프, 고무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계속 치솟는 것도 걱정스러운 부분이다.

최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건축자재인 목재의 경우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비교해 75%나 가격이 뛰었고, 구리 선물 가격의 상승률도 70%대에 이른다.

▲한은 내부 '선제적 금리인상' 솔솔…전문가 "美 연준 연말쯤 양적완화 가능성"

사실 국내외 심상치 않은 물가 움직임에 가장 큰 압박을 받는 것은 한은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지난해 3월 16일 '빅컷'(1.25%→0.75%)과 5월 28일 추가 인하(0.75%→0.5%)를 통해 2개월 만에 0.75%포인트나 금리를 빠르게 내린 이후 7차례의 금통위 회의에서 계속 금리를 동결했다.

이처럼 1년 가까이 '완화적 통화정책'이 이어지면서 시중에 많은 돈이 풀렸고, 풍부한 유동성이 결국 물가 상승의 연료가 되고 있다.

2월 현재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천274조원에 이르는데, 이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2019년 연 평균 2천810조원보다 464조원이나 불어난 상태다.

한은의 고민을 반영하듯, 지난달 15일 열린 금통위 회의에서도 물가에 대한 걱정을 내비친 위원들이 부쩍 늘었다.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위원이 물가 동향을 우려하며 한은 담당 부서에 물가 전망을 구체적으로 물었고, 기대 인플레이션을 줄이기 위한 '소통'을 강조하는 위원도 있었다.

심지어 금융안정 차원에서 금리 상승을 고려할 때가 다가온다는 뜻으로 해석될만한 발언도 나왔다.

한 위원은 "1분기 중 금융권 가계대출이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며 "정부의 가계부채 관련 대책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겠지만, 금융안정 이슈에 대해 통화정책적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는 금통위에서 결정할 문제지만, 한은 내부에서도 시점이 꼭 올해는 아니더라도 자산가격 상승, 물가 등을 고려해 다소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한은 금통위는 기본적으로는 국내 경기와 인플레이션 상황에 따라 기준금리를 조정하지만, 보다 현실적으로 보자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에 나설 경우 국내 기준금리를 따라 올릴 수밖에 없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만약 기준금리가 미국과 같아지거나 역전당하면 당장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 등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는 지금과 같은 인플레 속도가 지속되면 생각보다 빨라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