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자 못 내는 좀비 기업 증가, 한은 "금융 지원 길어지면 구조조정 지연"

코로나 19 사태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취약기업'이 늘었지만, 이들에 대한 금융지원이 길어지면 오히려 구조조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이 장기화될 경우 기업 구조조정을 지연시킬 수 있어 금융지원 조치를 경기회복 양상과 금융 불균형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기업 39.7%, 이익으로 이자도 감당 못해

한국은행이 22일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6월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이자상환능력 '취약기업'은 전체 분석 대상 기업(분기별 재무제표 공시 기업 2천520개) 가운데 39.7%(1천1개)에 이르렀다.

취약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해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1을 밑도는 기업으로 정의됐다.

비중이 2019년(37.0%)보다 2.7%포인트(p) 늘었지만 캐나다(72.6%), 미국(61.9%), 영국(49.1%), 프랑스(45.3%)보다는작은 편이다. 이탈리아(31.8%), 브라질(32.2%), 독일(33.4%), 일본(15.2%), 중국(18.5%)을 포함한 10개국 평균(39.7%)도 밑돌았다.

기업

하지만 기업 수가 아니라 분석 대상 기업의 전체 여신에서 취약기업의 여신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작년 한국의 비중(30.7%)은 미국(27.4%), 캐나다(27.1%), 프랑스(23.9%), 영국(23.9%), 일본(13.7%), 독일(13.4%), 중국(11.3%)보다 크고 10개 나라 평균(24.8%)을 넘어섰다.

한은은 취약기업 증가 배경에 대해 "금융완화 기조에 따른 차입비용 감소에도 불구, 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취약기업 비중이 커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은 분석 결과 취약기업의 '취약상태'가 길어질수록 정상기업으로 회복되는 비율은 떨어지는 반면 부도 발생비율은 높아졌다.

취약상태 1년 차에서는 37.6%의 기업이 정상을 회복하지만 8년 차에서는 12.6%만 정상기업으로 돌아왔다. 1년 차에 4.1% 정도인 부도 전환율은 7년 차에 13.6%로 뛰었다.

한은은 보고서에 따르면 취약상태가 4년 이상인 취약기업은 영업손실 규모가 확대되고 단기 유동성, 장기 지급능력이 모두 나빠지면서 자산과 자기자본이 동시에 감소한다.

한은은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일시적 부실기업을 지원하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장기화될 경우 기업 구조조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며 코로나19 이후 금융지원 조치를 경기회복 양상과 금융 불균형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