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가계부채 급증 우려에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 강해졌다

채권시장에서 8월에 금리 인상이 되지 않겠냐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금융불균형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으며, 이에 대해 이 총재의 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가 더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금융 불균형은 저금리 기조 속에 영끌 빚투로 폭증하는 가계부채와 이로 인한 자산시장의 버블을 뜻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다음(8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부터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적절한지 아닌지 논의하고 검토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총재는 "코로나19가 재확산하고 있지만, 경기 회복세, 물가 오름세 확대,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다음 회의 시부터는 검토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한다"고 부연했다.

금리 조정을 논의만 하는 것이 아니라 8월 금통위부터는 언제든 금리 인상을 결행할 태세가 돼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코로나 확산세가 통제하기 어려울 정도로 악화하지 않는 한 8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열려 있다.

이미 15일 금통위에서 7명의 금통위원 중 고승범 위원이 금리 인상 의견을 내면서 한은 내부의 금리 인상 시계는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

이 총재는 "최근 경제 주체들의 위험선호가 지속하면서 차입에 의한 자산투자가 이어졌다"며 "건전성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저금리가 장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한 거시건전성 규제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최근의 추세가 보여준다"고 했다. 영끌 빚투로 인한 가계부채 급증을 억제하고자 정부가 대출 규제를 하고 있으나 약발이 먹히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이 총재는 따라서 "거시 경제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통화 정상화로 대처해 나갈 필요성이 보다 커졌다"고 했다.

결국 빠른 경기 회복과 정부의 통제하에 있는 코로나19 등을 감안할 때 가계 부채 급증과 부동산 등 자산 버블로 인한 시스템 위기를 차단하기 위해 금리를 올릴 필요성이 증대했다는 얘기다.

올해 상반기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41조6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신용대출인 기타대출도 11조3000억원이나 늘어 작년 같은 기간(8조4000억원) 보다 많았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동기(2조9000억원)와 비교해 4배 가까이 증가했다.

금리 인상 시기에 관심이 쏠린다.

올해 남은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는 8월(26일), 10월(12일), 11월(25일) 등 3차례다.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 8월과 10월로 의견이 갈렸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주열 총재는 가계부채가 계속 늘어난 것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는 것 같다"면서 "금리 인상을 늦췄다가 만약 가계부채가 폭발이라도 할 경우의 충격을 우려해 조기 금리 인상을 염두에 둔 게 아니겠느냐"고 했다.

안 교수는 "코로나 확산세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금리 인상 시점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면서 "8월과 10월 인상 가능성을 반반씩으로 본다"고 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10월 이전에 한 번, 연말 이전에 한 번 0.25%포인트씩 연내 두 차례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고 공동락 대신증권[003540] 연구원도 "8월에 한차례, 4분기에 한차례 등 연내 두 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채권담당 애널리스트 역시 "한은 총재의 발언 강도를 보면 8월에 금리를 올리기 시작해 연내 두 차례 정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반면 박태근 삼성증권 채권분석 팀장은 "코로나19의 확산세나 경제 지표에 대한 확인이 좀 더 필요하다고 보면 금리 인상 시점은 10월로 예상하며 이 경우 내년 초에 한 차례 더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