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3년 동안 이자도 못낸 한계기업 또 늘었다

우리나라 기업 가운데 약 15%는 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상태가 3년이나 지속된 '한계기업'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한계기업 비중이 전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4일 공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말 기준 한계기업 수는 3465개로 추정됐다. 외부감사 의무기업 2만2688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로,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1을 밑도는 기업을 말한다.

한계기업 비중(전체 분석기업 대비)은 2019년보다 0.5%포인트(p) 늘어난 15.3%로, 201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컸다. 한계기업의 총 차입금(124조5000억원)도 1년 전보다 9조1000억원 불었다.

건물

기업 규모에 따라 나눠보면 1년간 대기업 중 한계기업 증가 수(39개)와 한계기업 차입금 증가액(5조6천억원)이 모두 중소기업(-49개·3조5000억원)보다 많았다.

해당 업종 전체 기업 수 대비 한계기업 수 비율을 보면 숙박·음식(43.1%), 조선(23.6%), 운수(22.6%) 등에서 상대적으로 컸다.

한계기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중윗값(-7.4%)은 나머지 기업(4.1%)을 크게 밑돌았고, 자기자본비율(19.9%)도 비(非)한계기업(45.0%)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다.

지난해 기준 한계기업 기운데 취약상태(이자보상배율 1미만)가 4년 이상 지속된 '장기 존속 취약기업'의 비중(기업수 9.3%, 차입금 10.1%)은 과거 5년(2015∼2019년) 평균(9.6%, 10.6%)보다 소폭 줄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2018년 이후 한계기업 비중이 증가세를 보이는데다 대기업의 한계기업 진입이 증가하고 기업당 평균 차입금(1509억원)이 중소기업(164억원)의 약 10배에 이르는 만큼 한계기업 차입금의 부실에 따른 금융기관 자산건전성 저하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