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재경일보 여론조사] 기후위기와 산업, 원전이냐 신재생이냐…尹 35.1 vs 李 34.6 vs 安 15.1%

기후위기 문제 해결을 위한 탄소중립 정책에 산업계의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탈원전 백지화' 입장인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우세인 양상이다.

26일 재경일보가 여론조사기관 여론조사공정(주)에 의뢰해 지난 25일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후위기 대응과 환경정책을 가장 잘 해결해나갈 것 같은 후보'를 묻는 질문에 35.1%가 윤 후보를 택했다.

기후위기 대응과 환경정책 현안조사 결과
▲ 기후위기 대응과 환경정책 현안조사 결과. 2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응답,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 자료=여론조사공정, 재경일보.

같은 질문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34.6%,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15.1%, 허경영 국가형명당 대선 후보 3.3% 순이었다.

윤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피력해왔으며, 25일에는 페이스북에 '탈원전 백지화, 원전 최강국 건설'이라는 한 줄 공약을 남기기도 했다.

정부는 유럽연합(EU)과는 달리 원자력 발전을 환경·기후친화적인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에 포함하지 않았으며, 현재보다 원전을 늘리지 않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탈원전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원전은 석유·석탄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발전으로 꼽히는 만큼, 이를 녹색분류체계로 분류하지 않는 것은 세계적 산업 추세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다만 원전이 온실가스 배출이 덜한 것과 무관하게 다른 방식으로 환경을 파괴할 여지가 크다는 입장도 있다.

◆ 尹 '원전' vs 李 '신재생에너지'…安 '원전·신재생 혼합'

이러한 가운데 윤석열 후보는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을 재개하고, 원자력 발전 비중을 30%대로 유지하며 탄소중립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 신한울 3·4호기 건설중단 현장서 원자력 공약 발표하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연합뉴스 제공]

이와 함께 한미 원자력 동맹을 강화하고, 원자력 수출을 위한 범정부 추진 조직을 구성한다는 공약도 제시했다.

윤 후보는 이같은 탈원전 백지화와 함께 탈석탄을 최대한 앞당길 것이라고 공약했다. 석탄 등 화석연료 발전 비중을 임기내 60%대에서 40%대로 대폭 줄이고, 원전 및 재생에너지를 확대한다는 것이다.

석탄발전소의 경우 가동 상한을 현재 80%에서 50%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국내 신축 중인 석탄발전소에 대해서는 "오래된 것보다는 신설하는 것이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 총량에서는 감축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 과학기술 정책토론회에서 답변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연합뉴스 제공]

이재명 후보는 탈원전이 아닌 원전을 줄이는 감(減)원전 정책과 함께, 가능하면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입장이다.

이 후보는 태양전지, 풍력발전, 에너지 저장장치 그리고 이를 활용한 친환경 미래차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서둘러 개발하겠다고 공약했다.

특히 지역에서 생산한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에너지 고속도로'를 통해 도시로 판매하고, 그 수익을 '햇빛연금', '바람연금' 등으로 돌려주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 울산 석유비축기지 방문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연합뉴스 제공]

한편, 안철수 후보의 경우 에너지 전쟁 시대에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혼합이 필수라는 입장이다.

현 정부의 탈원전이나 이재명 후보의 감원전 정책은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해 수출 제조업 경쟁력을 무너뜨릴 수 있고, 가동 환경의 영향이 큰 신재생에너지만으로는 한계가 많다는 것이다.

혁신형 중소형모듈 원전으로 원자력 산업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며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것이 안 후보 측의 공약이다.

◆ 어떻게 조사했나

여론조사공정(주)이 재경일보 의뢰를 받아 지난 25일 하루동안 전화통화(무선 100%)로 의견을 물었다. 전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8.6%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