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방의 '탈중국' 이어졌지만, '세계 공장' 입지 늘었다

서방 국가들의 잇따른 탈중국 행열에도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서 위치가 전혀 흔들리지 않는 모양세다.

월스트리트저널(WSJ) 21일(현지시간),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통계를 인용해 전 세계 재화 수출액 가운데 중국의 비중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13%에서 지난해 말 15%로 2%포인트 커졌다고 보도했다.

같은 기간 미국이 8.6%에서 7.9%, 독일이 7.8%에서 7.3%, 일본이 3.7%에서 3.4%로 비중이 축소된 것과 대비된다.

중국

▲ 코로나19 효과 = WSJ은 세계 수출에서 중국의 비중이 늘어난 데는 코로나19의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2020년 코로나19를 가장 먼저 겪은 뒤 빠르게 회복했고, 이후 마스크와 진단키트 등의 수출을 늘리며 코로나19 특수를 누렸다.

또 코로나19에 따른 세계적인 재택근무 확산 속에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제품 수요 증가도 중국 수출을 늘린 요인이 됐다.

그 과정에서 중국의 전자제품과 섬유제품 수출 비중은 같은 기간 각각 38%에서 42%로, 32%에서 34%로 늘어났다.

각국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면서 코로나19 특수가 줄어들 가능성도 제기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에 따른 세계 경제 둔화 우려가 나온 올해 상반기에도 중국의 수출 호실적은 지속됐다.

여기에는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재 생산비용 증가, 달러 가치 강세 등 가격 요인이 일조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 올해 상반기 미국의 대중국 무역적자가 전년 동기 대비 21% 늘어난 2천220억달러(약 297조원)를 기록하는 등 미국과 유럽, 아시아 국가들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기대 이상으로 늘었다.

게다가 중국은 최근 몇 년 새 자동차, 엔진, 중장비 등 비교적 고부가가치 제조업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을 키워왔다. 시장분석기업 TS롬바드의 로리 그린 아시아 리서치 대표는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중국이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인 독일의 시장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민간 기업들도 미래 먹거리 산업에 대한 투자를 늘렸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중국의 태양전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3% 늘어난 259억달러(약 34조6천억원)를 기록했고 지난달 자동차 수출은 역대 최대인 29만대에 이르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국의 7월 무역수지 흑자가 1천억달러(약 133조7천억원)를 넘긴 것은 수출 호조뿐만 아니라 중국 내 소비 위축으로 인한 수입 부진에 따른 것으로, 중국 경제의 불균형 심화를 시사한다는 관측도 나온다고 WSJ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