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두산에너빌리티, 베트남서 청정에너지 산업 MOU 체결

- 베트남, 온실가스 배출 저감하는 암모니아 혼소 발전소 도입키로

- 이달 초 한국-베트남 전력 산업 포괄적 협력 양해 각서 체결

두산에너빌리티가 국내외 연구기관과 손잡고 베트남에서 암모니아 혼소 발전소 도입을 추진한다.

암모니아를 기존 발전용 연료와 혼합 연소하면 발전량은 유지하며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베트남에너지연구원(Institute of Energy 이하 IE),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하 KETI)과 베트남 내 청정에너지 산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IE는 베트남 산업부 산하 국립 에너지 연구기관으로, 베트남 에너지 분야 연구개발과 정책을 수립하는 곳이다.

우리나라의 KETI 역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문 생산연구기관으로 그린에너지솔루션, VPP(가상발전소), 3D프린팅 등 다양한 전자산업 분야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베트남 산업 공동위 주관으로 추진된 이번 협약식에는 두산에너빌리티 박홍욱 파워서비스 BG장, IE 쩐끼푹(Tran Ky Phuc) 원장, KETI 이규복 부원장 등 각 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베트남 청정에너지 협력 MOU 체결식
베트남 청정에너지 협력 MOU 체결식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이번 협약으로 3사는 베트남 화력발전소에 ‘암모니아 혼소 기술 도입’, ‘발전소 현대화’ 등 사업 기회 확보와 연구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IE는 암모니아 혼소 적용 타당성 연구, KETI는 발전소 현대화 추진, 두산에너빌리티는 암모니아 혼소 발전 기술 개발 등을 협력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 박홍욱 파워서비스 BG장은 “두산에너빌리티는 2009년 설립한 대규모 생산공장인 두산비나를 통해 다수의 베트남 발전소에 기자재를 성공적으로 공급하며 베트남 기계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 오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이번 협약을 계기로 세 회사는 친환경 기술을 통해 베트남의 청정에너지 전환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5일 한-베트남 양국 정부는 해상풍력과 암모니아 혼소 실증 등의 내용을 담은 전력산업 포괄적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최근 베트남의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의 경제가 성장하면서 전력 수요도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국제 개발청(USAID)의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경제성장은 2000년 이후 연평균 13%로 전력 수요가 늘어가는 추세를 보였다.

2030년까지 베트남 경제 성장률은 8%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은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에너지 부족 해결을 위해 향후 10년 동안 에너지 부문 투자에 연간 80-100억 달러(약 10조 2,300억 ~ 12조 7,900억)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상당한 재생 가능 에너지 자원 잠재력과 태양열 공급 관세조절을 통해 현지 및 국제 투자자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이어 베트남은 ‘베트남 저 배출 에너지 프로그램 II’를 통해 USAID-베트남 정부의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청정에너지 확대와 민간 부문에서 필요한 투자를 지원받는다.

빈투안(Binh Thuan) 지방의 태양광 발전소
빈투안(Binh Thuan) 지방의 태양광 발전소 출처:https://www.usaid.gov/vietnam/clean-energy

한편 베트남 에너지 기업 VIET은 베트남, 영국, 유럽연합 지도자들이 베트남의 기후 및 에너지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공평한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ETP) 발표를 21일 전했다.

JETP에는 유럽연합,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노르웨이, 덴마크를 포함한 국제 파트너십 그룹의 지도자들이 포함돼 있다

JETP는 베트남의 에너지 전환을 위해 향후 3~5년 동안 초기 자금으로 공공 및 민간에 155억 달러(약 19조 8,200억원)를 지원한다.

이로써 베트남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에 이어 3번째로 JETP를 배치한 국가가 됐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베트남 청정에너지 발전량은 현재 계획된 수준인 36%에서 2030년 47% 이상까지 확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