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반성 요구보다 파트너십 띄운 尹…3월 한일정상회담 급물살 타나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을 '파트너'로 규정하며 분명한 협력 의지를 드러냈다.

최대 현안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문제의 최종 해법을 도출하기 위해 양국이 막판 속도를 내고 있고, 이르면 이달 가능성이 제기되는 한일정상회담 개최를 놓고 논의 중인 상황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1일 오전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린 '제104회 3·1절 기념식' 기념사에서 일본에 대해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로 변했다"고 밝혔다.

이어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간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고조되는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안보 영역을 포함해 일본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특히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 세계 시민의 자유 확대와 세계 공동의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며 "이것은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친 그 정신과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등을 공유하는 일본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3·1정신에 담겼던 "자유로운 민주국가"의 방향성과 같다는 언급이다.

윤석열 대통령
▲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1300자 남짓 분량의 기념사에서 강제징용, 위안부 등 구체적인 과거사 현안은 등장하지 않았다. 일본에 대한 사죄나 반성 요구로 해석될만한 언급도 없었다.

다수의 역대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만큼은 한일 과거사 문제를 거론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경우도 지난 2018년 첫 3·1절 기념사에서 유관순 열사를 포함해 국내외 독립운동을 상술하고, '가해자' '반인륜적 인권 범죄' 등의 표현을 써가며 반성을 촉구한 바 있다.

이런 '기류 변화'는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줄곧 밝혀온 윤석열 정부 기조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최근 징용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른 상황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 외무성에서 협상 실무를 담당하는 후나코시 다케히로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지난 주말 비공개 방한한 것으로 전해진 데 이어 박진 외교부 장관도 전날 피해자 유족 측과 처음으로 단체로 마주 앉아 정부안에 대한 의견을 경청하는 등 최근 다시 속도가 붙는 모습이다.

한일 관계를 가늠할 '바로미터'라 할 3·1절 기념사에서 윤 대통령이 협력을 부각하면서, 일본에도 이에 상응하는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촉구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정부는 일본 피고 기업을 대신해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조성한 재원으로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는 이른바 '제3자 변제안'을 공식화한 뒤, 일본 피고 기업의 기부 참여 및 사과 등 '성의 있는 호응'을 촉구해오고 있다.

일본 측이 윤 대통령의 이러한 기념사에 화답해 더욱 전향적인 입장을 보일지 관심이다.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구축해온 우호·협력 관계를 토대로 한일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한국 정부와 긴밀히 의사소통할 생각"이라며 일본 측의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

징용 협상과 맞물려 한일정상회담 논의가 무르익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협상 경과에 따라 한일정상회담이 주요 계기로 꼽히는 5월의 '히로시마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보다 앞당겨져 이르면 이달 중 성사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윤 대통령이 방일하게 되면 2019년 6월 문 전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오사카를 찾은 이후 약 4년 만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달 중 징용 협상 타결 가능성에 대해 "마지막 조율만 남겨둔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