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대전화의 문자입력방식이 동일해지고,가전제품의 리모콘들 또한 공동화가 추진되는 등 국민생활에 불편을 주던 50가지 생활기준들이 단계적으로 표준화된다.
23일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휴대전화 문자입력방식과 옷·신발치수, 모바일 기반 금융거래보안 등 표준화 미비로 소비자에게 불편을 제공했던 50가지 과제를 오는 2012년까지 단계적 통합 표준화하는 내용의 '1250 친서민 생활표준화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휴대전화의 문자입력방식의 경우, 모바일시장의 전체 시장의 50%이상을 차지하는 삼성전자의 천지인 방식으로 표준화가 예상되며 특허권자와 제조사간의 문제가 해결에 따라 내년 12월까지 한글입력 표준 방식이 마련된다.
내년부터 가전 전용 리모컨의 공용사용을 위한 표준을 개발,국민생활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PMP 등 모바일 정보기기의 문자입력 방식도 통일하게 된다.
이외에도 전국 지방자치단체간 교통카드의 호환사용 표준화, 취업자 표준 이력서 개발, 개인정보유출 등의 금융사고를 막기위한 유심(USIM)기반의 보안표준 등도 마련할 계획이다.
의료나 식품분야에서도 표준화작업이 이루어진다.
고령자 및 장애인용 생활제품,엑스레이(X- ray),컴퓨터단층촬영(CT), 초음파 등 병원 간 검사결과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을 제정하기로 해 의료비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식품분야에서는 김치냉장고 저장용기, 요식업에서 사용하는 1인분등이 2011년까지 표준화될 계획이다.
기표원은 "기술별로 표준화되지 않아 발생하는 국민의 불편과 사회적 낭비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수요조사는 물론 유관기관별 협의를 거쳐 100개의 표준화 요구 과제중 ▲ 편리한 사회 ▲ 건강한 사회 ▲ 미래사회 등 3개 분야별 50개 생활표준화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정부가 지난 2000년부터 국제표준화기구(ISO) 등의 표준과 부합화는 과정에서 일부 표준화를 한 경우는 있지만 본격적인 생활표준 정책을 추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