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시중은행, 대출중단 대신 대출상환 유도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시중은행들이 가계부채 증가를 막기 위해 신규 대출을 중단하는 대신 기존 대출의 상환을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먼저 자금여력이 있거나 실수요가 아닌 목적으로 대출받은 고객의 대출 상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 대출 유치 경쟁에 동원됐던 각종 고객 우대 대출금리도 축소하기로 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9일 시중은행 부행장과 실무자들을 불러모아 가계대출 억제를 위한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당국은 신규 가계대출의 중단보다는 기존 대출의 상환을 통해 대출 증가율을 억제하고, 상환을 통해 마련된 자금으로 서민이나 실수요 대출에 나설 것을 요청했다.

시중은행들은 대출 상환의 유도를 위해 먼저 대출 상환을 위한 자금 여력이 있거나 실수요가 아닌 주식투자 등의 목적으로 대출을 받은 고객들의 대출 상환을 독려할 방침이다. 또 만기가 돌아오는 대출 고객에게 상환이 가능한지 물어본 후 자금여력이 있는 고객의 상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주식투자 등의 목적을 위한 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만기연장을 까다롭게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예금담보대출과 주식담보대출의 특별상계를 검토하고 있다. 예를 들어 1년 만기 예금 2천만원을 담보로 1천만원을 빌린 고객에게 예금을 중도 해지해 대출 1천만원을 상환할 것을 요구하고, 대신 나머지 예금 1천만원은 중도해지 이율이 아닌 1년치 이자를 모두 지급하는 방식이다.

또 금융당국은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2조2천억원이나 급증한 것은 일부 은행이 특판 금리 등을 통해 대출 경쟁을 부추겼기 때문으로 보고 앞으로 특판 금리, 지점장 전결금리 등을 동원해 일선 영업점들이 중구난방식으로 대출을 늘리는 행태는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시중은행들은 당국의 이런 방침을 고려해 고객 우대금리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은행들은 현재 은행장 전결금리나 신용카드 이용, VIP고객, 월급 자동이체 등에 대한 우대 등을 통해 1~2%포인트나 대출 금리가 낮은 우대금리를 제시하고 있다.

은행들은 당국이 가계대출 총량규제에 나서면서 실질금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 경쟁에 동원됐던 우대 대출금리 등이 사라진다면 실질적으로 고객이 부담하는 금리는 다소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