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4월 취업자수 19만4천명 증가…건설·청년 고용 한파

지난달 취업자 수가 20만명 가까이 늘며 넉 달째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제조업·건설업 취업자 수는 감소하는 등 부진이 계속됐다.

청년층은 고용률·실업률이 악화하고 구직시장을 떠난 '쉬었음' 인구도 늘었다.

고용동형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888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4천명(0.7%)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올해 1월부터 넉 달째 10만명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는 12만4천명(-2.7%) 줄며 전달(-11만2천명)보다 감소 폭이 더 커졌다.

이는 2019년 2월 15만1천명 감소한 뒤로 가장 큰 폭이다.

건설업 취업자도 15만명(-7.2%) 줄며 부진이 계속됐다. 작년 5월부터 12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농림어업 취업자는 13만4천명(-8.6%) 감소했다. 이는 2015년 11월(-17만2천명) 이후 9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3천명 줄었다. 감소 폭은 전달(-2만6천명)보다 축소됐지만 작년 3월부터 14개월째 내리 감소세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1만8천명(7.3%),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11만3천명(8.1%), 정보통신업 7만2천명(6.6%) 각각 취업자가 늘었다.

연령 계층별로는 60세 이상과 30대에서 취업자가 각각 34만명, 9만3천명 늘었다

채용
[연합뉴스 제공]

20대에서 17만9천명 줄어들었다.

40대 5만1천명, 50대 1만4천명 각각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는 27만9천명(1.7%), 임시근로자는 5만2천명(1.1%) 늘었고 일용근로자는 5만4천명(-5.8%)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만6천명 줄었으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1천명 증가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7만7천명 줄었다.

고용률은 63.2%로 1년 전보다 0.2%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3%p 오른 69.9%였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5.3%였다. 2021년 4월(43.5%)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낮다. 1년 전보다 0.9%p 떨어지면서 12개월째 하락이 이어졌다.

실업자는 3만1천명 줄어든 85만4천명이었다.

실업률은 2.9%로 1년 전보다 0.1%p 하락했다.

청년층 실업률은 0.5%p 상승한 7.3%였다.

지난 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97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1만8천명 증가했다.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4만5천명 늘었다. 이중 청년층 쉬었음은 1만5천명 늘어난 41만5천명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