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정부가 중동 이외 국가로 수주 시장을 다변화하는 동시에 해외건설 수주를 적극 지원하고 수주 물량을 확대하기 위해 조직을 개편하고 인력도 늘린다.
국토해양부는 해외건설 관련 업무를 건설수자원정책실 건설정책관 소속 1개 과에서 2개 과로 확대하고, 11명의 인력을 보충하는 조직개편안을 행정안전부와 함께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연간 해외건설 수주액이 600억달러를 돌파하면서 현장이 늘어나고, 중동 민주화 시위 등 돌발 변수로 해외공사 관리 업무가 급증하면서 인력난이 계속해서 제기돼왔다. 현재 국토부에서 해외건설 업무를 수행하는 곳은 건설정책관 산하 '해외건설과' 한 곳뿐이고 인력도 과장을 포함해 12명이 전부였기 때문이다.
특히 중동에 편중된 수주지역을 다변화하려면 중남미ㆍ아프리카ㆍ중앙아시아 등 신흥시장 개척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인력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내년부터 건설정책관 소속의 '해외건설시장지원과(가칭)'를 새롭게 신설하고 총 11명(외부 인력 증원 6명 포함)을 배치할 예정이다.
신설되는 과에서는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유럽ㆍ북중남미 등으로 나눠 수주전략을 수립하고, 자원-인프라 연계사업 발굴 및 타당성 조사, 수주지원단 파견ㆍ발주처 초청 지원 등의 실무를 맡게 된다.
또 기존 해외건설과는 '해외건설정책과'로 이름을 바꾸고 해외건설 전반에 걸친 정책 방향 등을 수립한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내년 신시장 개척자금 등 주요 해외건설 예산을 종전 40억원에서 125억원으로 3배 이상 늘리는 방안을 예산 당국과 협의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내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돌파구로 해외 수주물량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인력과 예산을 확대해 정부 차원의 지원 활동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