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시중은행, 가계대출 억제 위해 비실수요대출 줄인다더니...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은행들이 지난달 가계대출을 줄이기 위해 비실수요 대출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면서 실수요 대출까지 대폭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우리, 신한, 하나, 기업은행 등 5개 시중은행의 중기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현재 302조280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1조1천452억원 감소했다.

감소액이 집계가 시작된 2008년 말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기존의 최대 감소액은 작년 11월의 1조1천213억원이었다.

반면 대기업 대출은 61조1천595억원으로 2조3천253억원 급증했다. 4월의 3조2천670억원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가계대출 금지로 많은 수익을 거두는 것이 어려워지자 대출금 회수가 안정적인 대기업 대출은 대폭 늘리면서 신용리스크가 큰 중기대출은 대폭 줄인 것이다.

가계대출 역시 실수요인 아파트 집단대출과 주택구입용 주택담보대출이 위축됐다.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실수요인 주택구입용 대출은 123조3천651억원으로 2천542억원 늘었다. 하지만 증가액이 전월의 6천291억원에 비해 40%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 가운데 아파트 집단대출은 70조2천61억원으로 556억원 늘어 증가액이 전월의 3천529억원에 비해 거의 6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에 비해 생활자금용 대출은 84조281억원으로 3천831억원 늘어 증가액이 전월의 2천808억원보다 1천억원 이상 확대됐다.

은행들이 지난달 당국의 가계대출 축소 요구에 따라 대출 규제에 나서면서 비실수요대출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떨어지는 아파트 집단대출과 주기대출 등 실수요 대출을 더 강하게 옥죈 것으로 관측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아파트 분양 후 받는 집단대출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고 중소기업 대출은 신용 위험이 높다"며 "은행들이 대출을 늘릴 필요가 없어지자 중기대출 등에 대한 문턱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