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국제반부패기구의 국가별 부패지수 발표와 미국 언론의 반부패 압력이 미국에 위협적인 아시아 기업들에 대한 공격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외에서 기업부패방지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부경복 변호사는 최근 간행된 '부패전쟁-삼성이 초일류기업이 될 수 없는 이유'라는 저서에서 이같은 주장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6일 그는 "1994년 미국 다국적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미국 정부와 의회에 제출한 국가경쟁력위원회 보고서에서 미국의 슈퍼 301조 발동으로 오히려 미국기업들이 국제시장에서 막대한 보복손실을 입었다는 분석을 제기했다"며 "대한 대안으로 반부패 국제협약을 체결해 미국의 경쟁기업을 물리칠 것을 제안한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부 변호사에 따르면 이러한 미국기업들의 요구는 미국 경제가 호황을 맞은 이후 15년 동안 묻혀 있다가, 미국 경제가 위기를 맞은 2008년 이후 본격적으로 강화되기 시작했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ISO26000 기준에서 기업들의 실효성 있는 부패방지장치들을 요구하는 것도 이러한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미국기업들은 학연과 지연으로 얽힌 아시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자신들이 상대적으로 약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기업보호를 반부패의 압력으로 제거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략에는 한국 등 아시아 기업들의 부패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하는 월스트리트저널과 같은 미국언론이나, 부패방지에 관한 국제적 비영리기구, 부패문제를 들어 신용등급을 강등하는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이 함께 연류되어 있다. 내부고발자들에 대한 천문학적 금액보상이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부패사례와 피해사례의 전파는 이러한 흐름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
부경복 변호사는 "삼성으로 대표되는 한국기업들이 이러한 미국의 반부패 전략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업부패를 단순한 비윤리적인 개인의 문제로 이해하는 시각에서 벗어나, 반부패를 경영전략으로 삼고 있는 미국기업들이 주도하는 국제적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체계적인 인식의 전환과 전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